-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4/05/20 09:45:08
Name   삼유인생
Subject   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한 번 정리해봐야지 하던 내용인데, 얼마나 자세히 제대로 분석해 쓸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일단 시작해봅니다.
-----------------------------------------------------------
0. 들어가며

'와. 한국 언론이 그래도 이 정도 수준은 됐구나!'

2020년 봄, 기사 데이터 베이스인 빅카인즈에서 2005년 전후의 경제/산업/기업 관련 법안의 처리 과정을 조사하던 과정에서 튀어나온 혼잣말이었다.

2020년 총선 직후, 당시 여당이었던 더불어민주당이 180석을 차지했을때 나는 정책연구파트에서 일하고 있었다.

당시 내게 주어진 미션은 법학 전공 연구자 한 명과 함께 진보계열 정권 하에서 여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했을때, 기업 규제 방향과 산업 정책 방향이 어떻게 설정되고 어떤 입법 과정을 거치게 될지 분석하고 예측하는 것이었다.

역사는 그대로 반복되지 않으나, 분명 하나의 사례로서 어떤 부분을 점검해야할지를 알려준다. 우리 연구팀은 2004년 탄핵 역풍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단독 과반 의석을 차지한 후, 1년이 지나 어떤 법안이 어떻게 추진됐는지, 쟁점은 무엇이었는지, 어떤 결론이 났는지를 추적했다.

이 과정에서 읽게 된 한국일보, 서울신문, 경향신문, 매일경제 등 조중동문을 제외한 다수의 신문 기사는 지금 우리가 보는 '정치적 광기'만 남은 그 어떤 진지한 고민도 없는 그런 기사가 아니었다.

정책을 설명하고, 왜 입법과정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지 누구의 주장에 더 힘이 실리고 있는지를 차분히 해설하고 있었다. 신문만 잘 읽어도 공부가 된다는 게 그때에는 사실이었다.

연구프로젝트 당시로 치면 15년, 현 시점에서는 거의 20년 전 시점이었던 걸 생각하면, 지난 15년~20년간 한국 언론이 얼마나 망가져왔는지 알 수 있다. 도대체 지난 십수년간 한국 언론에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1. 인터넷, 소셜미디어, 정보공개청구와 언론의 추락

한국 언론, 특히 신문이 망가지는 과정은 주요 일간지들이 신문 전성기 시절 광고 수익에만 의존하며 조간/석간 동시 발행 무리수를 두던 때까지 올라간다. 이 자리에서 그런 얘기를 다 하기에는 너무 길고 복잡하다. 그래서 인터넷 등장 이후로 추려보고자 한다.

인터넷이 등장하고 허가제였던 언론이 등록/신고제로 바뀌면서 언론사 난립이 시작됐다. 난립 이후에는 구조조정이 뒤따라야한다. 그러나 한국 언론은 그렇지 않았다. 오너 중심 재벌체제가 역설적으로 온갖 언론의 생명을 연장시켰다.  아무리 작은 언론사라도 오너 사진 하나 올리고 긁어대기 시작하면 홍보실에서 뛰어와 몇 백이라도 쥐어주기 마련이었다. 보호비를 뜯어내는 조폭비즈니스 모델이었던 언론은 마이너 매체를 중심으로 삥뜯는 양아치 모델로 바뀌어갔다.

메이저 언론은 다른 길을 찾는다. 몇몇 경제지들이 앞장섰다. 이른바 '포럼 비즈니스 모델'이다. 외국에서 유명 연사를 비싼 돈을 주고 대거 모셔와 하루 혹은 며칠짜리 포럼이나 컨퍼런스를 연다. 그리고 후원사로 온갖 대기업을 섭외해 협찬비를 받는다. 연사료를 비싸게 줘도 남는 비즈니스 모델이다. 언론사는 심지어 세무조사도 제대로 받는 경우가 드물다.

이제 기자들은 기사보다 행사에, 특종보다 특집(별도 광고협찬 지면)을 중시하게 된다. 안 그래도 많지 않은 인원, 한정된 자원으로 여러 일을 수행하려다보니 벌어지는 일이다.

그리고 소셜미디어의 등장은 신문과 방송 전반에 큰 타격을 준다. 단순히 사람들이 자기가 보고 싶은 기사만 보기 때문이 아니었다. 각자 자신의 미디어를 쥐게 된 진짜 전문가들이 신문과 방송 기사의 엉터리 전문가의 답정너 코멘트, 엉터리 분석과 엉터리 기사를 직접 비판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제대로 취재해 좋은 기사를 쓸 수 없는 환경, 진짜 전문가들에게 쥐어진 각자의 마이크. 이 두 가지가 언론의 권위를 급격히 추락시킨다.
언론이 힘을 가질 수 있었던 여러 이유 중 하나는 '정보의 통로를 독점한다'는 사실 때문이었다. 그래서 법조, 경찰, 주요기관 기자실은 기자들끼리 투표를 해서 신생매체의 출입여부를 직접 결정한다.

그런데 이 출입처 시스템은 또 하나의 문제를 야기한다. 내부의 은밀한 얘기를 어떻게든 듣고자 한다면, 그냥 내부 사람과 친해지는 게 급선무가 된다. 검찰처럼 정보를 독점하고 하나씩 의도를 갖고 수사 과정을 흘려주는 방식을 쓰면 아예 출입처에 종속된다. 철저히 기자가 을이 된다. 나중에 무리한 기사였다고 해도 검찰 탓으로 돌리면 된다. 그런데 그런 일이 거듭되면 언론 신뢰가 점차 떨어진다.

더 큰 문제는, 인터넷 보도자료와 관에서 직접 운영하는 각종 채널, 정보공개청구와 소셜미디어 내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전문가들의 등장으로 기자들의 출입처 시스템에 의한 정보 통로 독점은 꽤 오래전부터 깨지기 시작했다는 거다.


2. 영향력 착각, 전문성 착각

그럼에도 불구하고 신문과 방송의 데스크들은 자신들의 영향력을 과대평가한다. 자신들이 늘 만나는 대기업 홍보실 임원과 정부부처 대변인과 국장들, 심지어 장차관들은 그들과 점심/저녁 식사를 하는 자리에서는 항상 '기사 잘봤다', '탁월한 식견의 칼럼을 잘봤다'고 띄워주기 마련이다. 사실 만난다고 하니까 아랫사람들이 대충 스크랩해서 준거 보고 온 것 뿐인데 말이다.

물론 마음 한 켠에는 독자는 늙었고, 예전처럼 언론의 영향력이 없다는 막연한 생각도 들고 알것 같기도 하지만 일단 이는 외면한다. 이 '영향력 착각'이 없으면 그 박봉을 견디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일선 기자들은 다른 착각에 빠져 산다. 자신이 정치인과, 판검사와, 정부부처 고위 관계자와,  대기업 임원 누군가와 밥을 먹고 술을 먹으면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준 전문가라는 착각이다. 법조 용어 몇 개 안다고 법조인이 되는 것 아니고, 정치인과 밥 많이 먹었다고 정치인과 유권자들의 행태를 분석할 수 있는게 아니며, 기재부 국장하고 친하게 지낸다고 해서 재정정책의 전문가가 되는 게 아닌데 왠지 내가 많이 안다는 착각에 빠진다.

그 과정에서 기자로서 진짜 필요한 전문성은 점차 약화된다. 상식을 기준으로 의문을 품고 비판적으로 사고 하고 이를 쉽게 다시 글로 풀어내는 기자의 전문성 말이다.

기자들 수준이 얼마나 많이 망가져 버렸는지는 다음 편에서 여러 사례로 설명하겠지만 정말 다양한 이유로 기자들의 전문성은 사라져간다. 그리고 그들이 만드는 신문과 방송의 기사 수준도 떨어져간다.

(다음편에 계속)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4-06-04 07:37)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9
  • 기다리던 글이었습니다. 일단 추천 박습니다!!!
  • 다음편이 시급합니다
  • 날카로운 분석
  • 강추합니다
  • 추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98 기타낙관하기는 어렵지만, 비관적 시나리오보다는 낫게 흘러가는 한국 사회 11 카르스 24/06/03 1206 11
1397 기타트라우마와의 공존 9 골든햄스 24/05/31 847 20
1396 기타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2) 18 삼유인생 24/05/29 1737 28
1395 기타한국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1) 8 삼유인생 24/05/20 1599 29
1394 일상/생각삽자루를 추모하며 4 danielbard 24/05/13 1116 28
1393 기타2024 걸그룹 2/6 24 헬리제의우울 24/05/05 1171 16
1392 정치/사회취소소송에서의 원고적격의 개념과 시사점 등 9 김비버 24/05/02 1299 7
1391 일상/생각방문을 열자, 가족이 되었습니다 9 kaestro 24/04/29 1213 11
1390 일상/생각나는 다마고치를 가지고 욕조로 들어갔다. 12 자몽에이슬 24/04/24 1740 18
1389 꿀팁/강좌[해석] 인스타 릴스 '사진찍는 꿀팁' 해석 24 *alchemist* 24/04/23 1505 16
1388 기타잡담)중국집 앞의 오토바이들은 왜 사라졌을까? 27 joel 24/04/20 2341 34
1387 요리/음식드디어 쓰는 쌀국수 투어 모음집 1편 5 kogang2001 24/04/19 888 10
1386 일상/생각개인위키 제작기 7 와짱 24/04/17 1389 13
1385 정치/사회이준석이 동탄에서 어떤 과정으로 역전을 했나 57 Leeka 24/04/11 3671 6
1384 정치/사회절반의 성공을 안고 몰락한 정의당을 바라보며 10 카르스 24/04/11 1966 19
1383 정치/사회의대 증원과 사회보험, 지대에 대하여...(펌) 45 cummings 24/04/04 7802 37
1382 기타우리는 아이를 욕망할 수 있을까 22 하마소 24/04/03 1850 19
1381 일상/생각육아의 어려움 8 풀잎 24/04/03 1258 12
1380 정치/사회UN 세계행복보고서 2024가 말하는, 한국과 동북아에 대한 의외의 이야기 17 카르스 24/03/26 2224 9
1379 일상/생각인지행동치료와 느린 자살 8 골든햄스 24/03/24 1822 9
1378 일상/생각아들이 안경을 부러뜨렸다. 8 whenyouinRome... 24/03/23 1563 28
1377 꿀팁/강좌그거 조금 해주는거 어렵나? 10 바이엘 24/03/20 1827 13
1376 일상/생각삶의 의미를 찾는 단계를 어떻게 벗어났냐면 8 골든햄스 24/03/14 1703 19
1375 창작소수 사막은 얼마나 넓을까? 5 Jargon 24/03/06 1462 4
1374 기타민자사업의 진행에 관해 6 서포트벡터 24/03/06 1274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