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2/10/06 14:49:50
Name   Velma Kelly
Subject   "수업이 너무 어려워서 해고당한" 뉴욕대 화학 교수에 관하여
https://www.khan.co.kr/world/america/article/202210051524001

https://www.nytimes.com/2022/10/03/us/nyu-organic-chemistry-petition.html


타임라인

* 2022년 봄 학기, 뉴욕 대학교의 매잇랜드 존스 교수의 유기화학 강의를 듣던 350명의 학생 중 82명이 “수업이 너무 어렵고, (존스) 교수가 그 어려움에 한몫 하고 있다”고 탄원서를 올림 (해고하라고는 안 했음)

* 2022년 8월, 가을 학기 시작 직전, 존스가 학장에게서 짧은 해고 통보를 받음

-----------------------------------------------------------------------

이 사건으로 대중은 “꼰머 교수가 참교육 당한거 아님?” vs “세상에 수업 어렵다고 학생이 교수도 자를 수 있네 말세여” 같은 표면적인 얘기만 하는 거 같습니다. 그럴 수 있죠. 사람들 의견과 경험은 다 다르니까요. 하지만 저는 유기화학을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그리고 나중에 연구가 아니고 가르치는 걸 1순위로 삼는 교수가  되려고 하는 사람으로서, 이 이야기에 어떤 복잡한 점들이 있는지 글을 써보고 싶었습니다.



존스는 올해 만으로 84세의 유기화학 교수입니다. 존스는 1964년에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교수 경력을 시작해서 2007년에 은퇴, 그 이후로는 뉴욕 대학교에서 1년 계약을 연장하면서 올해 봄 학기까지 강의만을 했습니다.

-- 이 점을 들어 “프린스턴에서 40년 가르쳤으면 잘 가르치는거 아님?” 이라는 논리도 보이는데, 결코 그렇지 않습니다. 프린스턴 급의 세계구급 연구 대학들은 교수가 수업을 잘 가르치던 말건 별 관심이 없어요. 교수가 할 일 공동 1순위가 연구비 벌어오기, 논문 내기입니다. 개인차는 있겠지만 학부생들 잘 가르치는 건 저어어기 뒷전에 한 5순위 정도 될겁니다. 인성? 더러워도 능력이 있으면 학생들이 굴려주십쇼 하고 랩에 들어옵니다. 제가 지금 존스의 인성이 구렸다고 주장하는 게 아니고, 연구 대학에서의 오랜 경력은 학부생 수업의 질과 전혀 무관하다는 걸 말씀드리는 겁니다. –

존스가 해고되고, 뉴욕대는 해당 수업을 들은 학생들의 최종성적을 재검토하고 뒤늦게 드랍할 수 있는 혜택을 주기로 결정했습니다. 성적을 잘 받은 학생들은 반발했고, 화학과 교수들도 해고가 옳지 않은 처사였다고 주장합니다.

[“이건 그냥 학생들 성적 올려줘서 학교에 대해 좋은 말만 하게 만들고 더 많은 학생을 불러와서 대학교 랭킹 올리려는 심보임.”] – Paramjit Arora, 동료 교수

존스에게 해고 통보를 보낸 학장 Gregory Gabadadze는 인터뷰를 거절했습니다.
흥미롭게도, 학생들의 탄원서에는 존스를 해고해달라는 말이 없었다고 합니다.



* 존스의 인성?
탄원서를 올린 학생들은 존스가 ‘학생들을 깔보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고 주장했습니다. 이건 뭐라 생각해야 할지 잘 모르겠는게, 화학 하는 인간들은 애초에 소통이란 걸 잘 못합니다(…). 거기다 한 절반 이상은 연구에 찌들어서 냉소적이고 sarcastic 한데, 이걸 잘못 읽으면 ‘이새끼는 도대체 내가 뭘 잘못했다고 날 이렇게 갈구지?’가 될 수도 있을 거 같습니다. 물론 존스가 낮은 성적을 받은 학생들한테 정말 못되게 굴었을 수도 있겠죠. 제가 이 사람을 만나본 것도 아니고. 하지만 이걸 갖고 무슨 판단을 내리기엔 인터넷에서 익명으로 올리는 연예인 인성폭로 이런 느낌이 들어서 좀 꺼림칙하네요.


* 그래서 존스는 뭐래요?
존스는 인터뷰에서 “코로나를 거치며 학생들의 성취도가 떨어졌다. 엄청난 수의 학생들이 문제 자체를 잘못 읽는 실수를 했다. 공부를 안 하는 건 둘째치고 공부할 줄을 모르는 것 같다”는 주장을 했습니다. 이걸 갖고 “어휴 꼰대 ㅉㅉ” 하는것이야말로 꼰대짓인게, 코로나와 온라인 수업은 학생들의 배움에 심대한 지장을 줬고 수치상으로 그걸 나타낸 연구도 많거든요. 학생 탓을 하는 게 아니고, 이런저런 요인 때문에 아무튼 학생들의 수준이 과거에 비해 내려간 건 사실이란 말이죠.

[“존스는 수년동안 가르치는 방법을 바꾸지 않았음. 학생들은 변하더라고. 문제가 있다 싶으면 교수들에게서 더 많은 도움을 요청하고”] – James W. Canary, 전 NYU 화학 학과장

[“해당 수업에 대해 계속 불평하던 학생들은 우리가 제공한 것들 (오피스 아워, 강의 출석 등)을 사용하지 않았음.”] – Zacharia Benslimane, 해당 수업 조교

이건 TA를 해본 사람으로서 정말 공감이 되는게, 학생들이 안 와요. 수업도 안 나오고, 오피스 아워도 안 와요. 줌으로도 현실로도요. 지금 유기화학을 듣는 2학년생들은 대학교 1학년을 코로나로 맛이 간 상황에서 보냈는데, 이러니깐 ‘공부하는 방법을 모르는 게 아닌가’ 하는 합리적 의심이 가능합니다. 요즘 학생들은 게을러 빠졌다 이런 게 아니라, 대학교에서 모르는 게 있으면 어느 정도는 내가 파서 알아내는, 그런 공부하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이 스킵된거죠. 근데 하필 유기화학 과목이 문제가 된 건 우연일까요?


* 유기화학이 뭐길래?

미국에서 과학 전공하는 학부생 10명을 데려다가 “유기화학 어떻게 생각함?” 하면 7명 정도는 한숨부터 나올 겁니다.

유기화학은 단순화하자면 탄소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배우는 과학입니다. 근데 이 탄소란 게 생명체의 기반이거든요. 그러니까 굳이 대학원 가는 이상한 애들이 아니더라도, 나중에 의사 약사 되고 싶은 똘똘한 친구들이 무조건 들어야 하는 필수과목입니다. (그리고 얘네들은 의대 약대를 가려면 성적이 쥰내 좋아야 합니다!) 고로, 정말 많은 학생들이 좋든 싫든 듣게 됩니다.

그런데 이 과목이 골때리는 이유는, 공식이 없어요. 암기도 없어요. 공식을 외우면 공식에 안 맞는 예외가 나오고 암기를 하면 암기한 내용 밖에서 문제가 나와요. 다른 과목들이랑은 공부하는 방법이 달라도 한참 다릅니다. 개념 자체를 빠삭하게 이해하지 않으면 아무리 노력을 하고 연습을 해도 턱턱 막히는 일이 부지기수입니다.

자, 고등학교 때 공부 잘한다는 소리만 듣던 친구들이 난 약사 의사 공학자가 될거에요! 하고 대학교에 갔는데, intro 단계 수업에서 어? 난 항상 하던대로 했는데 왜 성적이 안 나오지? 이 과목 미친거 아님?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이런 학생들이 수백 수천명이 있는거죠. 이래서 유기화학의 (누명…?) 악명이 생겨난 거고요


* 이 사건이 중요한 이유는?
코로나로 인해 학생들의 성취도가 떨어진 건 팩트입니다. 그런데 그렇다고 수업의 수준을 무작정 낮출 수는 없겠죠. 그러면 교수와 대학이 피튀기는 혈전을 벌이든 마빡을 맞대고 건설적인 토론을 하든 해서 어떻게 할지를 결정해야 하는데, 이 상황은 아무리 봐도 대학 입장에서 뭔가 더 할 수 있었습니다. 교수가 잘못한 점을 밝히는 명백한 증거 없이 진행된, 이런 식의 해고는 교수 하고 싶은 사람으로서 무섭게 느껴집니다. 선례가 남는다는 게 중요한 거죠. 앞으로 다른 대학에서 학생들이 ‘이 학교 유기화학 너무 어려움! 교수가 X나 못 가르침’ 이러면 어떻게 될까요? 대다수 학교들은 (제발…) 각 잡고 조사를 해서 수업이 정말 불공평하게 어려운지 밝히고, 그 결과에 따라 교수나 학생들과 협상을 하겠죠. 하지만 어떤 학교들은 그런 조사를 할 능력이 안돼서/걍 귀찮아서 교수를 삭둑 잘라버리는 선택을 할 수도 있겠죠. 뭐든 처음이 어려운 거 아니겠습니까. ‘매잇랜드 존스도 잘렸는데 뭐 어때’ 하면서. 그게 반복되면 이 문제가 뉴스거리도 되지 않는 슬픈 날이 오겠죠. :(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2-10-17 17:2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7
  • 글 잘 읽었습니다. 연구비, 강의 퀄리티, 학비, 대학-교수-학생 간에 요구 차이 등등 많은 생각이 드네요...
  • 안그래도 이 사건에 대한 선생님의 견해가 궁금했읍니다.
  • 전공자분의 자세한 설명 감사드립니다.
  • 사실 전달 뿐 아니라, 비전공자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설명해주셨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43 과학"수업이 너무 어려워서 해고당한" 뉴욕대 화학 교수에 관하여 64 Velma Kelly 22/10/06 6136 27
1245 일상/생각"교수님, 제가 생과 사의 경계에 있는 것 같습니다." 24 골든햄스 22/10/20 4729 53
1246 과학이번 카카오 사태에 가려진 찐 흑막.jpg 코멘터리 18 그저그런 22/10/25 5096 24
1247 정치/사회이태원 압사사고를 바라보는 20가지 시선 7 카르스 22/10/30 5398 29
1248 꿀팁/강좌간혹 들어오는 학점은행제 알바들은 뭐 하는 사람들일까? 5 Profit(Profit) 22/10/30 4616 14
1249 정치/사회슬픔과 가치 하마소 22/11/02 3195 15
1250 일상/생각7년동안 끊은 술이 생각나는 밤입니다. 32 비사금 22/11/10 4668 44
1251 일상/생각농촌생활) 7.8.9.10.11월 23 천하대장군 22/11/15 3074 34
1252 일상/생각박사생 대상 워크숍 진행한 썰 19 소요 22/11/19 4034 26
1253 요리/음식주관적인 도쿄권 체인점 이미지 10 向日葵 22/11/20 3876 14
1254 여행세상이 굴러가게 하는 비용 5.5 달러 16 아침커피 22/11/26 4113 25
1255 체육/스포츠미식축구와 축구. 미국이 축구에 진심펀치를 사용하면 최강이 될까? 19 joel 22/12/05 4158 18
1256 기타포스트 아포칼립스물의 세계관 최강자가 68 문학소녀 22/12/09 4953 74
1257 여행너, 히스패닉의 친구가 돼라 5 아침커피 22/12/17 3029 15
1258 IT/컴퓨터(장문주의) 전공자로서 보는 ChatGPT에서의 몇 가지 인상깊은 문답들 및 분석 9 듣보잡 22/12/17 4168 19
1259 일상/생각4가지 각도에서 보는 낫적혈구병 4 열한시육분 22/12/18 2793 10
1260 요리/음식차의 향미를 어떤 체계로 바라볼 수 있을까? 6 나루 22/12/20 2985 13
1261 체육/스포츠10의 의지는 이어지리 다시갑시다 22/12/31 2654 6
1262 기타2022 걸그룹 6/6 10 헬리제의우울 23/01/03 3213 12
1263 경제때늦은 2022년의 경제학 (+인접분야) 논문읽기 결산 9 카르스 23/01/04 2992 15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3621 16
1265 일상/생각같이 게임했던 누나 이야기.. 3 어제내린비 23/01/12 3589 18
1266 의료/건강엄밀한 용어의 어려움에 대한 소고 37 Mariage Frères 23/01/12 4038 29
1267 정치/사회장애학 시리즈 (3) - 지리는 게 매력적인 모습은 아니잖아요?: '어른'이 되기 위해 억제를 배워간다는 것, 그리고 장애와 섹슈얼리티 8 소요 23/01/17 2794 12
1268 일상/생각니트라이프 - 1. 새로운 땅에 한 발을 내딛다. 4 BitSae 23/01/22 2384 17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