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차원에서 저러한 평가기준을 넣으면 '동의한 사람만' sns를 평가받는다는게 큰 의미가 없을겁니다.
- sns를 반영함. 단, 이에 동의한 국민만.
- sns에서 맞춤법을 잘 지켰다면, 가산점을 줌.
이렇게 두개 조항이 있다면 (꼭 이렇게 된다는건 아니고 예시를 들었을때), 실제로는 국민들 중 돈에 관심있는 모든사람 강제 sns 가입 및 정부맞춤법기준에 맞는 말쓰기 라는 효과가 나게 될겁니다. 가산점 주니까요. (맞춤법이 아니더라도 신용평가에서 sns를 국가에게 보여주도록 유도한다는것 자체가 대단히 문제입니다)
...더 보기
국가 차원에서 저러한 평가기준을 넣으면 '동의한 사람만' sns를 평가받는다는게 큰 의미가 없을겁니다.
- sns를 반영함. 단, 이에 동의한 국민만.
- sns에서 맞춤법을 잘 지켰다면, 가산점을 줌.
이렇게 두개 조항이 있다면 (꼭 이렇게 된다는건 아니고 예시를 들었을때), 실제로는 국민들 중 돈에 관심있는 모든사람 강제 sns 가입 및 정부맞춤법기준에 맞는 말쓰기 라는 효과가 나게 될겁니다. 가산점 주니까요. (맞춤법이 아니더라도 신용평가에서 sns를 국가에게 보여주도록 유도한다는것 자체가 대단히 문제입니다)
이런식의 제도는 어떤 요소를 반영한다고 하면 국민들이 그 요소를 '자발적으로' 충족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날 확률이 높아요. 자발적으로를 '반 강제적으로'라고 바꿔도 의미는 통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