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17/07/02 14:26:21 |
Name | naru |
Subject | 경제학과 학부생입니다. |
막 자격증 시험도 끝났겠다 AMA의 학생 빅웨이브에 올라탑니다! 현재 4학년이고 주식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naru님의 최근 게시물 |
일단 제가 1, 2의 현재 상황을 잘 모른다는 이야기를 하자면
1. 요즘의 추세가 어디의 추세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학계, 한국정부, 선진국(oecd)같은 주체없이는 잘 모르겠어요.
사실 저도 잘몰라요 ㅜㅜ
그래도 oecd에서 제공하는 각 국가들의 예산 증감을 보면 정부가 커지는지 작아지는지는 가늠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집 도착하면 관련 주소라도 올릴께요)
한국 정부의 경우 현정부가 기용한 경제인의 성향과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하에서 큰 정부로 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학계의 추세는 ... 더 보기
1. 요즘의 추세가 어디의 추세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학계, 한국정부, 선진국(oecd)같은 주체없이는 잘 모르겠어요.
사실 저도 잘몰라요 ㅜㅜ
그래도 oecd에서 제공하는 각 국가들의 예산 증감을 보면 정부가 커지는지 작아지는지는 가늠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집 도착하면 관련 주소라도 올릴께요)
한국 정부의 경우 현정부가 기용한 경제인의 성향과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하에서 큰 정부로 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학계의 추세는 ... 더 보기
일단 제가 1, 2의 현재 상황을 잘 모른다는 이야기를 하자면
1. 요즘의 추세가 어디의 추세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학계, 한국정부, 선진국(oecd)같은 주체없이는 잘 모르겠어요.
사실 저도 잘몰라요 ㅜㅜ
그래도 oecd에서 제공하는 각 국가들의 예산 증감을 보면 정부가 커지는지 작아지는지는 가늠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집 도착하면 관련 주소라도 올릴께요)
한국 정부의 경우 현정부가 기용한 경제인의 성향과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하에서 큰 정부로 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학계의 추세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2. 거시경제가 찬밥이란것이 이해가 잘되지 않습니다.
물론 서로의 사전지식이 다른것과 제가 그러한 이야기를 못들어본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결정과 같은 통화정책, 정부의 재정정책이 거시경제에 기인한것인데 없는 것이라고 하시니 ㅜㅜ
말하고자 하신것과 제가 이해한것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것은 아닐지 생각됩니다.
1. 요즘의 추세가 어디의 추세인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학계, 한국정부, 선진국(oecd)같은 주체없이는 잘 모르겠어요.
사실 저도 잘몰라요 ㅜㅜ
그래도 oecd에서 제공하는 각 국가들의 예산 증감을 보면 정부가 커지는지 작아지는지는 가늠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집 도착하면 관련 주소라도 올릴께요)
한국 정부의 경우 현정부가 기용한 경제인의 성향과 복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는 상황하에서 큰 정부로 가고 있지 않나 싶습니다.
학계의 추세는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2. 거시경제가 찬밥이란것이 이해가 잘되지 않습니다.
물론 서로의 사전지식이 다른것과 제가 그러한 이야기를 못들어본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금리결정과 같은 통화정책, 정부의 재정정책이 거시경제에 기인한것인데 없는 것이라고 하시니 ㅜㅜ
말하고자 하신것과 제가 이해한것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것은 아닐지 생각됩니다.
부자가 되려면 기적의 7자리 7, 13, 25...가 아니라
'부자'라는 단어가 미래의 경제적인 불안감 등등을 회피 할 마법의 단어가 아니라는 점을 일단 말하고 싶습니다.
아직 해보지 않으셨다면, 일단 재무설계부터 받아 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부자'라는 막연하고 모호한 목표는 목적과 수단 그 어느것도 구체적으로 정하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않좋습니다.
재무설계를 하면 현재 본인 혹은 가정의 재산목록과 액수, 앞으로 기대되는 수익의 기대값을 산출 할 수 있습니다.
그 자료를 바탕으로 '부자'라는 모호한 목표보다... 더 보기
'부자'라는 단어가 미래의 경제적인 불안감 등등을 회피 할 마법의 단어가 아니라는 점을 일단 말하고 싶습니다.
아직 해보지 않으셨다면, 일단 재무설계부터 받아 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부자'라는 막연하고 모호한 목표는 목적과 수단 그 어느것도 구체적으로 정하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않좋습니다.
재무설계를 하면 현재 본인 혹은 가정의 재산목록과 액수, 앞으로 기대되는 수익의 기대값을 산출 할 수 있습니다.
그 자료를 바탕으로 '부자'라는 모호한 목표보다... 더 보기
부자가 되려면 기적의 7자리 7, 13, 25...가 아니라
'부자'라는 단어가 미래의 경제적인 불안감 등등을 회피 할 마법의 단어가 아니라는 점을 일단 말하고 싶습니다.
아직 해보지 않으셨다면, 일단 재무설계부터 받아 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부자'라는 막연하고 모호한 목표는 목적과 수단 그 어느것도 구체적으로 정하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않좋습니다.
재무설계를 하면 현재 본인 혹은 가정의 재산목록과 액수, 앞으로 기대되는 수익의 기대값을 산출 할 수 있습니다.
그 자료를 바탕으로 '부자'라는 모호한 목표보다,
내가 90세까지 산다고 가정했을 때 어느정도의 소비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싶다면,
현재 자산과 노동으로 인한 기대수익, 자본의 기대수익을 고려했을 때,
어느정도를 소비하고 저축해야하는지를 아는것이 우리의 건전한 경제 생활과 정신적인 안정을 가져다 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재무설계의 기초는 지출통제, 수입증대 입니다!
고통 없이는 결과도 보잘것 없다는 것을 너무나 당연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재무설계입니다.
'부자'라는 단어가 미래의 경제적인 불안감 등등을 회피 할 마법의 단어가 아니라는 점을 일단 말하고 싶습니다.
아직 해보지 않으셨다면, 일단 재무설계부터 받아 보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부자'라는 막연하고 모호한 목표는 목적과 수단 그 어느것도 구체적으로 정하기 어렵게 하기 때문에 않좋습니다.
재무설계를 하면 현재 본인 혹은 가정의 재산목록과 액수, 앞으로 기대되는 수익의 기대값을 산출 할 수 있습니다.
그 자료를 바탕으로 '부자'라는 모호한 목표보다,
내가 90세까지 산다고 가정했을 때 어느정도의 소비수준을 꾸준히 유지하고 싶다면,
현재 자산과 노동으로 인한 기대수익, 자본의 기대수익을 고려했을 때,
어느정도를 소비하고 저축해야하는지를 아는것이 우리의 건전한 경제 생활과 정신적인 안정을 가져다 줄 것이라 생각됩니다.
그리고 재무설계의 기초는 지출통제, 수입증대 입니다!
고통 없이는 결과도 보잘것 없다는 것을 너무나 당연하게 이야기하는 것이 재무설계입니다.
일단 제가 받아드린 랜덤워크가설을 이야기 하자면(이렇게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어두고 보는게 경제학 공부사는 사람들의 고질병이라는 ㅜㅜ)
앞으로의 증권가격이 어떻게 될지는 전문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하는 거라 생각됩니다.(어디까지나 저의 의견 입니다!)
랜덤워크 가설의 가정 중 현재 증권의 가격은 그 증권의 가격을 평가할 수 있는 과거의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결정되어 있다는 가정이 있습니다.
결국 과거 데이터를 이용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증권가격을 알 수는 있지만,
앞으로 어떤 정보가 시장에 나올지 모르고 그 새로나온... 더 보기
앞으로의 증권가격이 어떻게 될지는 전문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하는 거라 생각됩니다.(어디까지나 저의 의견 입니다!)
랜덤워크 가설의 가정 중 현재 증권의 가격은 그 증권의 가격을 평가할 수 있는 과거의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결정되어 있다는 가정이 있습니다.
결국 과거 데이터를 이용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증권가격을 알 수는 있지만,
앞으로 어떤 정보가 시장에 나올지 모르고 그 새로나온... 더 보기
일단 제가 받아드린 랜덤워크가설을 이야기 하자면(이렇게 빠져나갈 구멍을 만들어두고 보는게 경제학 공부사는 사람들의 고질병이라는 ㅜㅜ)
앞으로의 증권가격이 어떻게 될지는 전문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하는 거라 생각됩니다.(어디까지나 저의 의견 입니다!)
랜덤워크 가설의 가정 중 현재 증권의 가격은 그 증권의 가격을 평가할 수 있는 과거의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결정되어 있다는 가정이 있습니다.
결국 과거 데이터를 이용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증권가격을 알 수는 있지만,
앞으로 어떤 정보가 시장에 나올지 모르고 그 새로나온 정보만 앞으로의 주가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까 주가가 무작위로 움직일거야 라고 하는게 랜덤위크가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뭐 랜덤워크 가설이 이론체계에 포함되었다는 것은 랜덤워크 가설로만 분석한다는게 아니라 랜덤워크 가설'도' 이용하여 증권의 가격을 분석한다는 것이니 마냥 경제학 무용론으로 보시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기술적 분석이라는 무지막지한 녀석이 버티고 있긴하지만.....
앞으로의 증권가격이 어떻게 될지는 전문가도 모른다는 이야기를 하는 거라 생각됩니다.(어디까지나 저의 의견 입니다!)
랜덤워크 가설의 가정 중 현재 증권의 가격은 그 증권의 가격을 평가할 수 있는 과거의 모든 정보가 반영되어 결정되어 있다는 가정이 있습니다.
결국 과거 데이터를 이용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증권가격을 알 수는 있지만,
앞으로 어떤 정보가 시장에 나올지 모르고 그 새로나온 정보만 앞으로의 주가의 움직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니까 주가가 무작위로 움직일거야 라고 하는게 랜덤위크가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뭐 랜덤워크 가설이 이론체계에 포함되었다는 것은 랜덤워크 가설로만 분석한다는게 아니라 랜덤워크 가설'도' 이용하여 증권의 가격을 분석한다는 것이니 마냥 경제학 무용론으로 보시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기술적 분석이라는 무지막지한 녀석이 버티고 있긴하지만.....
저도 약형, 준강형, 강형 중에서 준강형이 그나마 가깝지 않나 생각합니다.
뭐 정보가 모든 참여자들에게 완전히 제공되지 않고, 참여자들이 제공된 정보를 다 써먹지도 못하는게 현실이니 준강형에 일치한다고는 못하겠고 ㅎㅎ
주식하는데는 경제학과 학부수준의 지식보다는 경제학과를 다니며 익힌 학부수준의 자료수집능력과 분석력이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 동기피셜도 제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정 분야의 덕후가 있으면 해당 산업에 대한 디깅에 대한 길잡이 + 자료제공이 되기 때문이죠. (물론 투자결정은 제 몫이지만... 더 보기
뭐 정보가 모든 참여자들에게 완전히 제공되지 않고, 참여자들이 제공된 정보를 다 써먹지도 못하는게 현실이니 준강형에 일치한다고는 못하겠고 ㅎㅎ
주식하는데는 경제학과 학부수준의 지식보다는 경제학과를 다니며 익힌 학부수준의 자료수집능력과 분석력이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 동기피셜도 제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정 분야의 덕후가 있으면 해당 산업에 대한 디깅에 대한 길잡이 + 자료제공이 되기 때문이죠. (물론 투자결정은 제 몫이지만... 더 보기
저도 약형, 준강형, 강형 중에서 준강형이 그나마 가깝지 않나 생각합니다.
뭐 정보가 모든 참여자들에게 완전히 제공되지 않고, 참여자들이 제공된 정보를 다 써먹지도 못하는게 현실이니 준강형에 일치한다고는 못하겠고 ㅎㅎ
주식하는데는 경제학과 학부수준의 지식보다는 경제학과를 다니며 익힌 학부수준의 자료수집능력과 분석력이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 동기피셜도 제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정 분야의 덕후가 있으면 해당 산업에 대한 디깅에 대한 길잡이 + 자료제공이 되기 때문이죠. (물론 투자결정은 제 몫이지만)
이정도가 갖쳐지면 예를 들어 '카카오가 인터넷 은행을 런칭할 예정이니 잘 될거라는 기대를 가지고 카카오를 사겠어!'가 아니라
그래도 카카오 뱅크가 잘된다고 예측한 후에 더 나아가서,
얼굴마담인 카카오의 주식이 가장많이 오를까 아니면 지분이 제일 많은 한국금융지주? 운용에 도움을 주는 국민은행?
이 중에서 뭘 선택할까 정도의 선택이 가능해집니다.
실제 내 돈을 넣기에는 더 고민을 하겠지만요.
경제학과라서 주식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이 있다기보다.
투자결정 기준을 세우고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고 그것을 지키는 것에 능력을 경제학과 다니면서 익혔다고 생각합니다.
뭐 정보가 모든 참여자들에게 완전히 제공되지 않고, 참여자들이 제공된 정보를 다 써먹지도 못하는게 현실이니 준강형에 일치한다고는 못하겠고 ㅎㅎ
주식하는데는 경제학과 학부수준의 지식보다는 경제학과를 다니며 익힌 학부수준의 자료수집능력과 분석력이 어느정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아 동기피셜도 제법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정 분야의 덕후가 있으면 해당 산업에 대한 디깅에 대한 길잡이 + 자료제공이 되기 때문이죠. (물론 투자결정은 제 몫이지만)
이정도가 갖쳐지면 예를 들어 '카카오가 인터넷 은행을 런칭할 예정이니 잘 될거라는 기대를 가지고 카카오를 사겠어!'가 아니라
그래도 카카오 뱅크가 잘된다고 예측한 후에 더 나아가서,
얼굴마담인 카카오의 주식이 가장많이 오를까 아니면 지분이 제일 많은 한국금융지주? 운용에 도움을 주는 국민은행?
이 중에서 뭘 선택할까 정도의 선택이 가능해집니다.
실제 내 돈을 넣기에는 더 고민을 하겠지만요.
경제학과라서 주식하는데 도움이 되는 지식이 있다기보다.
투자결정 기준을 세우고 목표 수익률을 설정하고 그것을 지키는 것에 능력을 경제학과 다니면서 익혔다고 생각합니다.
경제학에서 말하는 합리성이라는 것은 이론을 만들고 모델을 만드는데 필요한 가정 중 하나이죠.
저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호모 이쿠노미쿠스는 경제적 인간을 가정하는 것은
경제학이 여러가지 가치를 막 뭉뚱그려서 화폐나 효용같은 경제학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가치로 통합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이 (경제적으로)합리적일까 생각해보면 어느정도는 그렇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행동의 원인에 (경제적)합리성 이외에 여러가지도 있잖아요.
또 사람들이 정보가 충분하지 못해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을 하지 못하기도 하죠.
그래서... 더 보기
저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호모 이쿠노미쿠스는 경제적 인간을 가정하는 것은
경제학이 여러가지 가치를 막 뭉뚱그려서 화폐나 효용같은 경제학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가치로 통합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이 (경제적으로)합리적일까 생각해보면 어느정도는 그렇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행동의 원인에 (경제적)합리성 이외에 여러가지도 있잖아요.
또 사람들이 정보가 충분하지 못해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을 하지 못하기도 하죠.
그래서... 더 보기
경제학에서 말하는 합리성이라는 것은 이론을 만들고 모델을 만드는데 필요한 가정 중 하나이죠.
저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호모 이쿠노미쿠스는 경제적 인간을 가정하는 것은
경제학이 여러가지 가치를 막 뭉뚱그려서 화폐나 효용같은 경제학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가치로 통합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이 (경제적으로)합리적일까 생각해보면 어느정도는 그렇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행동의 원인에 (경제적)합리성 이외에 여러가지도 있잖아요.
또 사람들이 정보가 충분하지 못해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을 하지 못하기도 하죠.
그래서 나온게 행동경제학이 있죠.
일반적으로 현실에서 사람들은 (완전한이 아닌)어느정도 (경제적으로)합리적이고 합리성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의사선택을 결정하다고 해요.
저는 경제학에서 말하는 호모 이쿠노미쿠스는 경제적 인간을 가정하는 것은
경제학이 여러가지 가치를 막 뭉뚱그려서 화폐나 효용같은 경제학에서 이야기 할 수 있는 가치로 통합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사람이 (경제적으로)합리적일까 생각해보면 어느정도는 그렇기도 하지만 사람들의 행동의 원인에 (경제적)합리성 이외에 여러가지도 있잖아요.
또 사람들이 정보가 충분하지 못해서 경제적으로 효율적인 선택을 하지 못하기도 하죠.
그래서 나온게 행동경제학이 있죠.
일반적으로 현실에서 사람들은 (완전한이 아닌)어느정도 (경제적으로)합리적이고 합리성이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의사선택을 결정하다고 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