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17/05/25 17:31:27 |
Name | [익명] |
Subject | 역사 교사입니다. |
중학교 역사교사 입니다. 광역시에 근무 중입니다. 어떤 질문이 달릴까 궁금해 익명으로 글을 남겨봅니다. 할 수 있는 한 답변하겠습니다. 덧) 답글을 달다가. 아직 저경력에 미천한 역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와 교육에 있어 어느 쪽에도 조예가 깊지 못해 좋은 대답을 못해드릴 까 걱정이 됩니다만 역사와 교육 양 쪽 분야의 질문 모두 환영합니다. 0
|
1.
현행 교육과정 상 중학교에는 '역사'교과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함께 배우고, 고등학교에서 '한국사'라는 교과로 세분화됩니다.
내용의 깊이, 배경지식에 대한 설명에도 차이가 납니다.
무엇보다 학습에 있어서
고등학생의 지적 수준과 수업시간(45분vs50분)에 맞게 같은 수업 형태를 취하더라도 더 깊이 있는 토론과 학습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온 과정을 이해하고 역사적으로 사고하며 현대 사회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함이 역사학습의 ... 더 보기
현행 교육과정 상 중학교에는 '역사'교과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함께 배우고, 고등학교에서 '한국사'라는 교과로 세분화됩니다.
내용의 깊이, 배경지식에 대한 설명에도 차이가 납니다.
무엇보다 학습에 있어서
고등학생의 지적 수준과 수업시간(45분vs50분)에 맞게 같은 수업 형태를 취하더라도 더 깊이 있는 토론과 학습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온 과정을 이해하고 역사적으로 사고하며 현대 사회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함이 역사학습의 ... 더 보기
1.
현행 교육과정 상 중학교에는 '역사'교과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함께 배우고, 고등학교에서 '한국사'라는 교과로 세분화됩니다.
내용의 깊이, 배경지식에 대한 설명에도 차이가 납니다.
무엇보다 학습에 있어서
고등학생의 지적 수준과 수업시간(45분vs50분)에 맞게 같은 수업 형태를 취하더라도 더 깊이 있는 토론과 학습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온 과정을 이해하고 역사적으로 사고하며 현대 사회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함이 역사학습의 목적이라고 볼 때
중요도가 낮은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덧붙여 아무래도 정치사가 주가 되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교과서를 서술하시는 분들의 합의와 동의에 의해 여러 학설이 종합됩니다.
그럼에도 (아무래도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상이하기에) 만들어진 교과서에 대한 논의도 많습니다.
저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데요
하나는 여러가지 의견을 모두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스스로 선택하게 하든지
둘은 아예 논쟁이 될 만한 부분은 객관적인 사실만 이야기하고 넘어가는 편입니다.
현행 교육과정 상 중학교에는 '역사'교과에서 한국사와 세계사를 함께 배우고, 고등학교에서 '한국사'라는 교과로 세분화됩니다.
내용의 깊이, 배경지식에 대한 설명에도 차이가 납니다.
무엇보다 학습에 있어서
고등학생의 지적 수준과 수업시간(45분vs50분)에 맞게 같은 수업 형태를 취하더라도 더 깊이 있는 토론과 학습 결과물을 기대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만,
역사가 형성・발전되어 온 과정을 이해하고 역사적으로 사고하며 현대 사회를 통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함이 역사학습의 목적이라고 볼 때
중요도가 낮은 것이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덧붙여 아무래도 정치사가 주가 되는 것도 이유가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3.
교과서를 서술하시는 분들의 합의와 동의에 의해 여러 학설이 종합됩니다.
그럼에도 (아무래도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이 상이하기에) 만들어진 교과서에 대한 논의도 많습니다.
저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는데요
하나는 여러가지 의견을 모두 학생들에게 보여주고 스스로 선택하게 하든지
둘은 아예 논쟁이 될 만한 부분은 객관적인 사실만 이야기하고 넘어가는 편입니다.
20년 전이면 100% 강의식 수업이라고 상정하겠습니다.
일단은 교과서의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정말 피터지게 이야기하고 소리치고 말해야 용어를 이야기하고 흐름을 알려주고 의의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1년을 모두 사용해야 할 텐데, 학기말이면 학생들의 긴장과 집중이 떨어지는 시점입니다.(교사도 수업진행의 부담이 덜하겠지요)
수업 진행이 어렵습니다.
세 번째로 (역사 선생님들의 생각도 다 다르시지만) 근현대사의 경우 '아직 사회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 객관적인 팩트만 이야기한다'가 되는 ... 더 보기
일단은 교과서의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정말 피터지게 이야기하고 소리치고 말해야 용어를 이야기하고 흐름을 알려주고 의의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1년을 모두 사용해야 할 텐데, 학기말이면 학생들의 긴장과 집중이 떨어지는 시점입니다.(교사도 수업진행의 부담이 덜하겠지요)
수업 진행이 어렵습니다.
세 번째로 (역사 선생님들의 생각도 다 다르시지만) 근현대사의 경우 '아직 사회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 객관적인 팩트만 이야기한다'가 되는 ... 더 보기
20년 전이면 100% 강의식 수업이라고 상정하겠습니다.
일단은 교과서의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정말 피터지게 이야기하고 소리치고 말해야 용어를 이야기하고 흐름을 알려주고 의의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1년을 모두 사용해야 할 텐데, 학기말이면 학생들의 긴장과 집중이 떨어지는 시점입니다.(교사도 수업진행의 부담이 덜하겠지요)
수업 진행이 어렵습니다.
세 번째로 (역사 선생님들의 생각도 다 다르시지만) 근현대사의 경우 '아직 사회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 객관적인 팩트만 이야기한다'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게 1번,2번과 합쳐지면 학기 말 폭풍 진도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
근현대사의 비중은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2015개정교육과정의 경우 고등학교 한국사의 대주제 7개 중에 3개가 흥선대원군 이후 근현대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일단은 교과서의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정말 피터지게 이야기하고 소리치고 말해야 용어를 이야기하고 흐름을 알려주고 의의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러다보니 1년을 모두 사용해야 할 텐데, 학기말이면 학생들의 긴장과 집중이 떨어지는 시점입니다.(교사도 수업진행의 부담이 덜하겠지요)
수업 진행이 어렵습니다.
세 번째로 (역사 선생님들의 생각도 다 다르시지만) 근현대사의 경우 '아직 사회적인 합의가 도출되지 않았다 -> 객관적인 팩트만 이야기한다'가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게 1번,2번과 합쳐지면 학기 말 폭풍 진도로 이어지는 것 같습니다.
,
근현대사의 비중은 점차적으로 늘어나는 편이라고 생각합니다.
2015개정교육과정의 경우 고등학교 한국사의 대주제 7개 중에 3개가 흥선대원군 이후 근현대사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수업 모형은 많습니다.
제가 아는 한 말씀드리겠습니다.
거꾸로 수업은 5~10분 정도 본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디딤영상으로 학생들이 시청하고 온 뒤에 내용 지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학생 활동으로 꾸며지는 수업입니다.
가령 신라 하대의 혼란에 대해 수업할 때, '디딤영상 시청 후 -> 본 수업에서 최치원이 되어 신라 사회의 모습과 개혁안이 담긴 상소문 쓰기' 가 이루어지는 형태입니다.
하브루타는 짝을 지어 논제에 대해 질문하고 답하며 논의하는 형태입니다. 유대인들의 교수 방법이라고 하더군요.
여... 더 보기
제가 아는 한 말씀드리겠습니다.
거꾸로 수업은 5~10분 정도 본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디딤영상으로 학생들이 시청하고 온 뒤에 내용 지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학생 활동으로 꾸며지는 수업입니다.
가령 신라 하대의 혼란에 대해 수업할 때, '디딤영상 시청 후 -> 본 수업에서 최치원이 되어 신라 사회의 모습과 개혁안이 담긴 상소문 쓰기' 가 이루어지는 형태입니다.
하브루타는 짝을 지어 논제에 대해 질문하고 답하며 논의하는 형태입니다. 유대인들의 교수 방법이라고 하더군요.
여... 더 보기
이 외에도 수업 모형은 많습니다.
제가 아는 한 말씀드리겠습니다.
거꾸로 수업은 5~10분 정도 본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디딤영상으로 학생들이 시청하고 온 뒤에 내용 지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학생 활동으로 꾸며지는 수업입니다.
가령 신라 하대의 혼란에 대해 수업할 때, '디딤영상 시청 후 -> 본 수업에서 최치원이 되어 신라 사회의 모습과 개혁안이 담긴 상소문 쓰기' 가 이루어지는 형태입니다.
하브루타는 짝을 지어 논제에 대해 질문하고 답하며 논의하는 형태입니다. 유대인들의 교수 방법이라고 하더군요.
여러 가지 활용 방법이 있습니다만, 질문을 생각하고 질문에 답하고 그 답에 다시 질문하는 방식이 기본 형태인 듯 합니다.
비주얼 씽킹은 텍스트를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시각화는 그림인데요, 그려라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미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요건 구글에 비주얼씽킹이라고 검색해보시면 결과물이 많을 것 같습니다.
제가 아는 한 말씀드리겠습니다.
거꾸로 수업은 5~10분 정도 본시간에 학습할 내용을 디딤영상으로 학생들이 시청하고 온 뒤에 내용 지식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고
학생 활동으로 꾸며지는 수업입니다.
가령 신라 하대의 혼란에 대해 수업할 때, '디딤영상 시청 후 -> 본 수업에서 최치원이 되어 신라 사회의 모습과 개혁안이 담긴 상소문 쓰기' 가 이루어지는 형태입니다.
하브루타는 짝을 지어 논제에 대해 질문하고 답하며 논의하는 형태입니다. 유대인들의 교수 방법이라고 하더군요.
여러 가지 활용 방법이 있습니다만, 질문을 생각하고 질문에 답하고 그 답에 다시 질문하는 방식이 기본 형태인 듯 합니다.
비주얼 씽킹은 텍스트를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이때 시각화는 그림인데요, 그려라라고 말하지 않습니다. 미술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요건 구글에 비주얼씽킹이라고 검색해보시면 결과물이 많을 것 같습니다.
사범대, 공립입니다.
시험 노하우는 기출 문제를 바탕으로 개론서 단권화, N회독 / 마인드 컨트롤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중고등학교도 그렇지만, 특히 초등학교가 학급 축소, 인원수 감소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그 말인 즉 몇년 후면 중고등학교가 그렇다는 것이겠지요.
네. 많이 다릅니다. 지역의 환경에 따라 분위기가 천차만별입니다.
여건이 된다면 갈 생각이 있습니다만 중학교의 장점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수업 개선에 더 힘 쓸 수 있다든지, 그래도 저녁시간이 조금은 있다든지.
학군마다, 교사 성향마다 다른 부분이 있습... 더 보기
시험 노하우는 기출 문제를 바탕으로 개론서 단권화, N회독 / 마인드 컨트롤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중고등학교도 그렇지만, 특히 초등학교가 학급 축소, 인원수 감소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그 말인 즉 몇년 후면 중고등학교가 그렇다는 것이겠지요.
네. 많이 다릅니다. 지역의 환경에 따라 분위기가 천차만별입니다.
여건이 된다면 갈 생각이 있습니다만 중학교의 장점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수업 개선에 더 힘 쓸 수 있다든지, 그래도 저녁시간이 조금은 있다든지.
학군마다, 교사 성향마다 다른 부분이 있습... 더 보기
사범대, 공립입니다.
시험 노하우는 기출 문제를 바탕으로 개론서 단권화, N회독 / 마인드 컨트롤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중고등학교도 그렇지만, 특히 초등학교가 학급 축소, 인원수 감소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그 말인 즉 몇년 후면 중고등학교가 그렇다는 것이겠지요.
네. 많이 다릅니다. 지역의 환경에 따라 분위기가 천차만별입니다.
여건이 된다면 갈 생각이 있습니다만 중학교의 장점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수업 개선에 더 힘 쓸 수 있다든지, 그래도 저녁시간이 조금은 있다든지.
학군마다, 교사 성향마다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크게 어려웠던 적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다만 주변 케이스나, 소식을 들어보면 흉흉한(?), 버라이어티한(?) 일들이 많습니다만, 여기에 적기는 제한이 있네요.
교직을 생각하고 계신다면 좋은 선생님 되시길 기원합니다.
시험 노하우는 기출 문제를 바탕으로 개론서 단권화, N회독 / 마인드 컨트롤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중고등학교도 그렇지만, 특히 초등학교가 학급 축소, 인원수 감소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 그 말인 즉 몇년 후면 중고등학교가 그렇다는 것이겠지요.
네. 많이 다릅니다. 지역의 환경에 따라 분위기가 천차만별입니다.
여건이 된다면 갈 생각이 있습니다만 중학교의 장점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수업 개선에 더 힘 쓸 수 있다든지, 그래도 저녁시간이 조금은 있다든지.
학군마다, 교사 성향마다 다른 부분이 있습니다만, 개인적으로 크게 어려웠던 적은 아직까지는 없습니다. 다만 주변 케이스나, 소식을 들어보면 흉흉한(?), 버라이어티한(?) 일들이 많습니다만, 여기에 적기는 제한이 있네요.
교직을 생각하고 계신다면 좋은 선생님 되시길 기원합니다.
근현대사가 반면교사가 된다면, 전근대사가 반면교사가 되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이란게 천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기서 거기인 경우가 많거든요^^;
현실적으로 역사에 흥미가 없는 학생들까지도 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에 대해
저는 현재를 살아가기 위한 문제해결력과 삶을 바라보는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기 위해서라고 이야기합니다.
가령 삼국통일 과정을 통해 현재의 남한과 북한의 통일 문제를 생각해보는 것이 전자라면
왜 민주화 운동을 우리가 기억해야하는가 따위의 문제를 토론하는 것이 후자겠지요.
5학년 학생이... 더 보기
기본적으로 사람이란게 천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기서 거기인 경우가 많거든요^^;
현실적으로 역사에 흥미가 없는 학생들까지도 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에 대해
저는 현재를 살아가기 위한 문제해결력과 삶을 바라보는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기 위해서라고 이야기합니다.
가령 삼국통일 과정을 통해 현재의 남한과 북한의 통일 문제를 생각해보는 것이 전자라면
왜 민주화 운동을 우리가 기억해야하는가 따위의 문제를 토론하는 것이 후자겠지요.
5학년 학생이... 더 보기
근현대사가 반면교사가 된다면, 전근대사가 반면교사가 되지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이란게 천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기서 거기인 경우가 많거든요^^;
현실적으로 역사에 흥미가 없는 학생들까지도 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에 대해
저는 현재를 살아가기 위한 문제해결력과 삶을 바라보는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기 위해서라고 이야기합니다.
가령 삼국통일 과정을 통해 현재의 남한과 북한의 통일 문제를 생각해보는 것이 전자라면
왜 민주화 운동을 우리가 기억해야하는가 따위의 문제를 토론하는 것이 후자겠지요.
5학년 학생이라면 간단히 과거를 통해 교훈을 얻고, 현재를 더 잘살기 위해서다,,, 정도로 이야기해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늦었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이란게 천년 전이나, 지금이나 거기서 거기인 경우가 많거든요^^;
현실적으로 역사에 흥미가 없는 학생들까지도 역사를 배워야하는 이유에 대해
저는 현재를 살아가기 위한 문제해결력과 삶을 바라보는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기 위해서라고 이야기합니다.
가령 삼국통일 과정을 통해 현재의 남한과 북한의 통일 문제를 생각해보는 것이 전자라면
왜 민주화 운동을 우리가 기억해야하는가 따위의 문제를 토론하는 것이 후자겠지요.
5학년 학생이라면 간단히 과거를 통해 교훈을 얻고, 현재를 더 잘살기 위해서다,,, 정도로 이야기해줄 것 같습니다.
답변이 늦었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