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16/12/21 16:23:52 |
Name | [익명] |
Subject | 공사업체 공무일을 하고 있습니다. 궁금한점 질문해주세요. |
전기공사 업체에 있으며 도로/플랜트 메인공무 경력 있고 기간은 3년 가까이 됩니다. 신입사원들 들어오고 갈려서 많이 나가는 걸 보다보니 이쪽으로 취업준비하시는 분들 있을 수도 있겠다 싶어 글 올려봅니다. 경력이 길진 않지만 취업 준비하시는 분들에겐 어느정도 얘기해드릴 정돈 될 듯합니다... 현장 막바지라 월급루팡으로 투잡뛰고 있습니다 흐흐 0
|
회사가 단종이지만 규모가 좀 되다보니
지방 현장도 많습니다.
보통 집과 가깝게 파견을 해주지만
먼 곳으로 파견가는 일도 종종 있습니다.
아파트는 주로 시가지 근처라 주변환경이 좋고
플랜트는 조금 외지며
도로공사는 오지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파견은 업체마다 다릅니다.
보통 해외는 해당 국가 노동법 등에 따라
공사 금액이 많이 달라지기에(특히 브라질)
시공이 아닌 공무(메인)는
해외 경험이 있는 직원을 주로 씁니다.
종합건설사의 경우 해외 경력이
승진에 가산점이 되는 곳이 있고
승진은 커녕 ... 더 보기
지방 현장도 많습니다.
보통 집과 가깝게 파견을 해주지만
먼 곳으로 파견가는 일도 종종 있습니다.
아파트는 주로 시가지 근처라 주변환경이 좋고
플랜트는 조금 외지며
도로공사는 오지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파견은 업체마다 다릅니다.
보통 해외는 해당 국가 노동법 등에 따라
공사 금액이 많이 달라지기에(특히 브라질)
시공이 아닌 공무(메인)는
해외 경험이 있는 직원을 주로 씁니다.
종합건설사의 경우 해외 경력이
승진에 가산점이 되는 곳이 있고
승진은 커녕 ... 더 보기
회사가 단종이지만 규모가 좀 되다보니
지방 현장도 많습니다.
보통 집과 가깝게 파견을 해주지만
먼 곳으로 파견가는 일도 종종 있습니다.
아파트는 주로 시가지 근처라 주변환경이 좋고
플랜트는 조금 외지며
도로공사는 오지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파견은 업체마다 다릅니다.
보통 해외는 해당 국가 노동법 등에 따라
공사 금액이 많이 달라지기에(특히 브라질)
시공이 아닌 공무(메인)는
해외 경험이 있는 직원을 주로 씁니다.
종합건설사의 경우 해외 경력이
승진에 가산점이 되는 곳이 있고
승진은 커녕 해고의 고속도로인 곳도 있습니다.
지방 현장도 많습니다.
보통 집과 가깝게 파견을 해주지만
먼 곳으로 파견가는 일도 종종 있습니다.
아파트는 주로 시가지 근처라 주변환경이 좋고
플랜트는 조금 외지며
도로공사는 오지로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외파견은 업체마다 다릅니다.
보통 해외는 해당 국가 노동법 등에 따라
공사 금액이 많이 달라지기에(특히 브라질)
시공이 아닌 공무(메인)는
해외 경험이 있는 직원을 주로 씁니다.
종합건설사의 경우 해외 경력이
승진에 가산점이 되는 곳이 있고
승진은 커녕 해고의 고속도로인 곳도 있습니다.
국가교육과정인지는 확인은 안해봤지만
보통 '기초안전보건교육'을 받지 않으면 현장 투입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공사의 '안전팀'에서 별도의 안전교육을 실시한 후에 투입이 가능합니다.
특히 더 위험한 공정에 투입되는 인원에 대해서는 추가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시공사&하도급사의 안전 담당자가 주기적&비주기적으로 돌면서 안전사항을 체크합니다.
으레 현장이 그렇듯 어느정도 '가라'는 있습니다.
다만 매번 개근하는 학생 어쩌다 한 두번 출석체크 안하는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안전관리는 느슨해 보이면서 굉장히 민감... 더 보기
보통 '기초안전보건교육'을 받지 않으면 현장 투입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공사의 '안전팀'에서 별도의 안전교육을 실시한 후에 투입이 가능합니다.
특히 더 위험한 공정에 투입되는 인원에 대해서는 추가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시공사&하도급사의 안전 담당자가 주기적&비주기적으로 돌면서 안전사항을 체크합니다.
으레 현장이 그렇듯 어느정도 '가라'는 있습니다.
다만 매번 개근하는 학생 어쩌다 한 두번 출석체크 안하는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안전관리는 느슨해 보이면서 굉장히 민감... 더 보기
국가교육과정인지는 확인은 안해봤지만
보통 '기초안전보건교육'을 받지 않으면 현장 투입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공사의 '안전팀'에서 별도의 안전교육을 실시한 후에 투입이 가능합니다.
특히 더 위험한 공정에 투입되는 인원에 대해서는 추가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시공사&하도급사의 안전 담당자가 주기적&비주기적으로 돌면서 안전사항을 체크합니다.
으레 현장이 그렇듯 어느정도 '가라'는 있습니다.
다만 매번 개근하는 학생 어쩌다 한 두번 출석체크 안하는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안전관리는 느슨해 보이면서 굉장히 민감하기도 해서 생각보다 신경을 많이 쓰는 편입니다.
일반 하우징보다 플랜트, 발전소 쪽이 좀 더 절차가 많고 까다로운 편입니다.
산재가 발생될 정도의 사고는 흔치는 않지만 종종 발생되기도 합니다.
문제는 산재신청이 될 경우 하도급사의 입찰에 감점요인이 있어서
산재 신청시 수급자가 얻을 수 있는 보상 이상을 자체적으로 보상해줍니다.
이를 이용해서 일부러 다치고 보상금을 타는 사람들도 있는데 걸리면 골치가 꽤나 아픕니다.
보통 '기초안전보건교육'을 받지 않으면 현장 투입자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시공사의 '안전팀'에서 별도의 안전교육을 실시한 후에 투입이 가능합니다.
특히 더 위험한 공정에 투입되는 인원에 대해서는 추가로 안전교육을 실시하고
시공사&하도급사의 안전 담당자가 주기적&비주기적으로 돌면서 안전사항을 체크합니다.
으레 현장이 그렇듯 어느정도 '가라'는 있습니다.
다만 매번 개근하는 학생 어쩌다 한 두번 출석체크 안하는 정도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안전관리는 느슨해 보이면서 굉장히 민감하기도 해서 생각보다 신경을 많이 쓰는 편입니다.
일반 하우징보다 플랜트, 발전소 쪽이 좀 더 절차가 많고 까다로운 편입니다.
산재가 발생될 정도의 사고는 흔치는 않지만 종종 발생되기도 합니다.
문제는 산재신청이 될 경우 하도급사의 입찰에 감점요인이 있어서
산재 신청시 수급자가 얻을 수 있는 보상 이상을 자체적으로 보상해줍니다.
이를 이용해서 일부러 다치고 보상금을 타는 사람들도 있는데 걸리면 골치가 꽤나 아픕니다.
저는 전기 단종업체에 있다보니 전기쪽으로밖에 얘기를 드리지 못하겠네요.
공사 비용 자체는 변수가 많습니다.
1. 간접 및 기타 경비에 대해서는
- 주변 부동산이나 물가에 따라 숙식하는 직원들에 들어가는 비용이 다르고
(숙소를 10개 이상 잡게 될 경우 무시못할 금액이 되곤 합니다.)
- 장비비도 은근히 지역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 현장 여건에 따라 차량이나 장비, 공구에 대한 유지비가 많이 다릅니다.
(고속도로는 차량, 공구의 유지비가 타 현장에 비해 많이 높습니다.)
2. 인건비
- 인... 더 보기
공사 비용 자체는 변수가 많습니다.
1. 간접 및 기타 경비에 대해서는
- 주변 부동산이나 물가에 따라 숙식하는 직원들에 들어가는 비용이 다르고
(숙소를 10개 이상 잡게 될 경우 무시못할 금액이 되곤 합니다.)
- 장비비도 은근히 지역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 현장 여건에 따라 차량이나 장비, 공구에 대한 유지비가 많이 다릅니다.
(고속도로는 차량, 공구의 유지비가 타 현장에 비해 많이 높습니다.)
2. 인건비
- 인... 더 보기
저는 전기 단종업체에 있다보니 전기쪽으로밖에 얘기를 드리지 못하겠네요.
공사 비용 자체는 변수가 많습니다.
1. 간접 및 기타 경비에 대해서는
- 주변 부동산이나 물가에 따라 숙식하는 직원들에 들어가는 비용이 다르고
(숙소를 10개 이상 잡게 될 경우 무시못할 금액이 되곤 합니다.)
- 장비비도 은근히 지역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 현장 여건에 따라 차량이나 장비, 공구에 대한 유지비가 많이 다릅니다.
(고속도로는 차량, 공구의 유지비가 타 현장에 비해 많이 높습니다.)
2. 인건비
- 인건비도 지역마다 편차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공사비 중에 인건비 비중이 꽤 차지하기에 조금 달라도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차이납니다.
3. 자재
- 특정 자재는 시공사나 원청에서 픽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보통 업체에서 납품 받는 자재비용보다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 지역에 따라 배송관련되서 비용이 달라지기에 자재 단가에서부터 차이가 납니다.
- 시공 당시 원자재 가격의 급변으로 인해 단가 차이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 원청에서 특이한 스펙의 자재를 원할 경우 단가가 급상승하기도 합니다.
- 해당 현장의 필요 자재량에 따라 자재 업체별로 계약하는 단가가 다르기에
공사비가 차이 납니다.
4. 시공
- 시공 중 추가 설비가 생기거나 설계가 바뀌게 될 경우
기존 시공분을 철거하고 재시공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기에
이 때문에 가격 변동이 크게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아시다싶이 국내 설계는 개판 오분전인 곳이 많습니다.
현장에서 설계를 바꾸는 경우가 많기에 공사 금액이 많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당시의 시설이나 소방 등 관련 법의 변경으로 인해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5. 기타 잡비
- 시공사 담당자가 얼마나 멍청한지, 감리가 얼마나 x새인지에 따라 공사비가 틀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짬밥으로 대략적으로 짐작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아파트의 경우는 브랜드에 따라 비슷하기에 어느정도 예측이 간단하지만
플랜트는 난도가 있을 것 같네요.
공사 비용 자체는 변수가 많습니다.
1. 간접 및 기타 경비에 대해서는
- 주변 부동산이나 물가에 따라 숙식하는 직원들에 들어가는 비용이 다르고
(숙소를 10개 이상 잡게 될 경우 무시못할 금액이 되곤 합니다.)
- 장비비도 은근히 지역에 따라 많이 다릅니다.
- 현장 여건에 따라 차량이나 장비, 공구에 대한 유지비가 많이 다릅니다.
(고속도로는 차량, 공구의 유지비가 타 현장에 비해 많이 높습니다.)
2. 인건비
- 인건비도 지역마다 편차가 있습니다.
아무래도 공사비 중에 인건비 비중이 꽤 차지하기에 조금 달라도 생각보다 비용이 많이 차이납니다.
3. 자재
- 특정 자재는 시공사나 원청에서 픽스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보통 업체에서 납품 받는 자재비용보다 더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 지역에 따라 배송관련되서 비용이 달라지기에 자재 단가에서부터 차이가 납니다.
- 시공 당시 원자재 가격의 급변으로 인해 단가 차이가 발생되기도 합니다.
- 원청에서 특이한 스펙의 자재를 원할 경우 단가가 급상승하기도 합니다.
- 해당 현장의 필요 자재량에 따라 자재 업체별로 계약하는 단가가 다르기에
공사비가 차이 납니다.
4. 시공
- 시공 중 추가 설비가 생기거나 설계가 바뀌게 될 경우
기존 시공분을 철거하고 재시공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도 있기에
이 때문에 가격 변동이 크게 생길 수도 있습니다.
- 아시다싶이 국내 설계는 개판 오분전인 곳이 많습니다.
현장에서 설계를 바꾸는 경우가 많기에 공사 금액이 많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당시의 시설이나 소방 등 관련 법의 변경으로 인해 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5. 기타 잡비
- 시공사 담당자가 얼마나 멍청한지, 감리가 얼마나 x새인지에 따라 공사비가 틀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짬밥으로 대략적으로 짐작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습니다.
아파트의 경우는 브랜드에 따라 비슷하기에 어느정도 예측이 간단하지만
플랜트는 난도가 있을 것 같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