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9/12 02:40:43
Name   기아트윈스
Subject   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2): 디제이디제이 드랍 더 비트
서원학습은... 상상하던 것과 달랐어요. 낭만적인 그림을 품고 도착한 곳은 산등성이에 허름한 한옥 몇 채, 그게 다였어요. 가장 최근에 지은 2층 양옥집이 유일하게 사람 살 만한 공간이요 선생님들 숙소이자 본부였어요. 30여 명의 학생들은 최소한 수십 년은 된 주방 건물 하나, 한옥 셋, 이렇게 네 동의 건물에서 묵었구요. 

때는 12월 하순, 전 경남의 겨울이 그렇게 추울 줄은 몰랐어요. 한옥의 창호지문은 그냥 장식품이에요. 아무리 메꾸려고해도 어딘가엔 틈이 있어서 몰아치는 북풍이 방으로 그대로 들이닥쳤어요. 실내 기온이 꼭 한 겨울 새벽녘 경계초소 같았지요.

난방은 바닥에 깔린 전기장판이 전부였어요. 이게 또 문제인게, 온돌도 히터도 아니고 전기장판인지라 최대출력으로 올려봤자 누운 그자리만 불지옥이지 기온은 그대로 그린란드거든요. 매일 밤 몇 차례씩 등이 뜨거워서 깨거나 코가 추워서 깨는 탓에 제대로 잔 날이 손에 꼽았어요. 분명 실내인데 코가 추워서 깨는 그 기분은 정말 짜릿해요. 제 코가 낮아서 다행이지 양놈마냥 고도가 2센티만 높았어도 분명 동상으로 잘라내야 했을 거예요. 몽골리안 만세.

화장실은, 아휴. 겨울이라 다행이었죠. 푸세식이 얼어 붙은 동안은 쓸 만해요. 여름이었으면 생지옥이었을 텐데 ㅎㅎ. 학생용 샤워실은 단 한 곳이었어요. 부엌에 딸려 있었는데, 전기 온수기로 온수를 뎁혀서 저장해놓고 거기 달린 샤워기로 씻는 식이었어요. 온수가 넉넉하지 않아서 서른 명의 학생들이 하루 종일 돌아가면서 씻었어요.

선생님 숙소인 양옥에는 딱 일반적인 양옥집에 기대할 수 있는 온수/난방/변기/욕조가 있었어요. 하지만 그게 탐나서 거기 잠입해서 샤워하고 올 만큼 간이 부은 학생은 없었지요. 아, 1 학년 여학생들은 문제의 양옥 2층에서 지내면서 그 모든 문명의 이기들을 누렸어요. 갸들을 한옥집에 던져놓으면 충격으로 탈주할까봐 그랬는지 어쨌는지 여튼 특혜라면 특혜였지요. 

하지만 다른 학생들이 그걸 부러워하진 않았어요. 감시자들과 한 곳에서 생활한다는 데는 또 말 못할 고통이 있었거든요. 양옥과 한옥에서 모두 생활해본 2~3 학년 여성 동지들은 "수세식 돼지가 되느니 푸세식 소크라테스로 살겠다" 고 했고 남성 동지들은 "미칬나. 니는 시설 좋다고 주임원사랑 같이 살래 ㅋㅋㅋ" 라고 했어요.

이 열악한 생활환경에 경탄을 금치 못하던 즈음에 드디어 문제의 [피치 못할 사정]이 뭐였는지 알게 되었어요. 1학년에서 2학년으로 넘어가면서 우리 기수 장학생의 수는 15명-->10명이 되었어요. 그런데 여름 서원학습 기간 도중 그 10명 중 한 명이 더는 못해먹겠다고 서울로 탈주(!!)했다는 거예요. 하긴. 탈주자가 있어도 이상하지 않은 환경이긴 했어요. 그 탈주 학생은 장학생 명부에서 제명됐고, 그래서 겨울 서원학습 땐 일반 학생 중에 하나를 승격시켜서 땜빵으로 데꼬오자고 결정하고 절 데려온 거래요.

음...

한문 배운 썰인데 공부 이야기가 아직 안나왔군요. 환경 이야기가 이 정도 분량을 잡아먹을 줄이야. 

학생들은 매일 오후 양옥에 모여서 강의를 들어요. 강의라기보단 윤독(輪讀)에 가까운데, 학생들이 정해진 텍스트를 돌아가면서 읽고 해석하고, 선생님들은 그걸 지적하고 까주지요. 그러면 다들 사각거리며 필기를 하고, 숙소에 돌아와서는 배운 걸 다 외워요. 그렇게 외운 부분은 다음날 아침 조회 때 선생님이 듣는 데서 강(講)을 하는데 이 강이란 게 뭐냐면,


1 . 예전에, 서당이나 글방 같은 데서 배운 글을 선생이나 시관 또는 웃어른 앞에서 외던 일. <비슷한 말> 글강.

젊어서 글공부를 할 때 시관 앞에서 강을 하다가 강이 막혀서 시관에게 창피를 당한 뒤에…. 출처 : 박종화, 임진왜란

(Never 국어사전 中)

...입니다. 강에는 음정과 박자가 있어요. 어떤 음, 어떤 박으로 할 것인가는 출신지역에 따라 달라져서 전라도 출신 선생님이 하는 강을 들어보면 꼭 판소리 하는 것 같고 경상도 출신 선생님이 하는 강을 들어보면 약간 타령하는 것 같아요. 그래도 대체로 음은 5음계에 2옥타브 정도의 높낮이를 두고 박자는 알아서들 찾아서 해요. 이건 고전번역원 홈에 있는 샘플인데 선생님들은 대개 이런 식이에요.





이게 좀 어려워요. 짬이 찬 2, 3 학년은 다들 자기 나름의 음박을 확립해서 강을 하지만 1 학년들은 이거 감 잡느라 고생을 많이 해요. 그래서 첫 강을 할 때 재밌는 에피소드가 많이 나오지요. 


반짝반짝 작은별에 맞춰서 맹자(孟子)를 강했다는 모짜르트 누님부터








디제이디제이 드랍 더 비트를 시전한 힙합전사 형님까지


별의 별 전설의 레전드들이 다 있었대요. 

반야심경(般若心經)을 내용물만 바꿔서 강해서 모두에게 큰 웃음을 안겨준 놈도 있... 모르긴 몰라도 저 말고도 분명 있었을 거예요 ;ㅅ;

강을 할 때나, 윤독을 할 때나, 모두 조선시대 예법을 모방해서 지켜요. 무슨 일이든 시작할 때나 끝낼 때는 반드시 읍(揖)을 해요. 읍이 뭔고 하면



요로코롬..

읍을 하면 선생님이 먼저 아빠다리로 앉고, 학생들은 뒤따라 궤좌(跪坐)를 해요. 궤좌는 또 뭔고하면 




요런거예요. 물론 저렇게 앉으면 선생님들이 "에이 편하게 앉아"라고 하지요. 그러면 다들 아빠다리로 전환해요. 하지만 아빠다리도 열라 불편하기 때문에 다들 아빠다리와 궤좌를 오가며 다리 풀어주느라 바빠요. 유연성 없는 사람이 피도 안 통하면서 억지로 버티면 절름발이가 된대요.

아침 조회 때 모여서 강을 하고 오후에 1~2 시간 윤독을 하는 걸 제외하면 나머지 시간은 대체로 개인시간이에요. 다들 방에 박혀서, 혹은 산책하면서 배운 부분을 강하고 다음날 윤독할 부분을 예습해요. 준비가 끝났다고 생각하면, 놀지요 ㅎㅎ. 재밌는 일들은 이렇게 노는 시간에 많이 생겨요. 청춘남녀들이 모여서 별처럼 아름답고, 슬프고, 많은 이야기들을 만든답니다.


(꼐속)



11
  • 많은 이야기가 있다는군요!
  • 썰푸는건 추천이야~
  • 이렇게 홍차넷의 킬러콘텐츠가 하나 더 늘어갑니다.
  • 문과 흥하는 이야기 재미있네요!!
  • 강의 세계가 이렇게 즐거운 것이었다니!


April_fool
DJ DJ Pump this party
기아트윈스
ㅋㅋㅋㅋㅋ 댓글 보니 또 생각났다. 2, 3학년들이 신입생 들어오면 그래서 꼭 장난을 쳐요. 1학년 애들은 처음이라 다들 강 어떻게 하냐고 안절부절하는데 그 초조한 마음을 이용해서 "괜찮아. 반짝반짝 작은별로 하면 돼. 언니도 그렇게 했어." 같은 말을 해서 골탕먹이고 그래요 ㅋㅋㅋ
마투잘렘
적절한 절단신공이시군요!
자 어서 다음편을 내 놓으시지요!!
내놓지 않으면 구워서 먹으…읍읍!
기아트윈스
원고는 대강 써놨는데 퇴고할 시간이 부족해서 ㅡㅡ;; 한국시간 자정 즈음에 올릴 수 있을 듯요.
로오서
본편은 다음편부터인가요!
기아트윈스
아직 어떻게 써야 할지 확정 못했어요. 연애 에피소드는 아무래도 프라이버시 문제도 있고, 또 한 번 써봤는데 은근 재미가 없더라구요;; 그래서 과감히 생략하고 제가 벌인 사고(?) 하나만 다뤄볼까 해요 ㅎㅎ
Beer Inside
같이 별을 본 여학생은 누구였나요!
기아트윈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저는 당시 신혼이라 매일 밤 별을 보며 와이프님과 통화했어요.

물론 통화하러 나와서 느적느적 돌아다니다가 정말로 별을 보고 있는 남녀를 발견하기도 했지요 ㄷㄷ
와일드볼트
길게 할짓은 못될것 같은데 짧게 다녀왔으면 나름 재미있었을것 같네요..
기아트윈스
길게 했으면 필시 탈주.... 했겠지요 -_-; 3주도 당시엔 정말정말 길게 느껴졌어요. 또 하필 크리스마스와 신정을 다 잡아먹는 일정이라 속세와의 격리된 느낌도 컸구요.
Darwin4078
역시 서원 스타일 한문 공부는 다 똑같죠. 외우고 또 외우기. ㅋㅋㅋ 저도 서원 다닐때 똑같이 했어요. 맹자 양혜왕편, 맹자견 양혜왕 하시니~ 왕왈수 불원천리이래 하시니~ 역장유이리오국호 이리오~ 뭐 이런거요...ㅎㅎ

이게 중국어 성조가 변형되어서 이렇게 되었다고 하는데 정확한건 저도 잘 모르구요... 원문에도 있지만 재미있는게, 이렇게 유교서적 독강하는 스타일과 불경 독강하는 스타일이 미묘하게 다릅니다. 아버지께서 반야심경부터 각종 불경 독송 테이프를 하루종일 틀어놓고 계셔서 거기에 너무 익숙해져서 서원에서 암송할때 저도 모르게 반야심경 암송하는 리듬으로 했나봐요. 그러자, 선생님이 '이눔이 어디서 중놈들 중얼거리는 경전을 외우고 있냐'고 된통 혼났습니다. 그때는 왜 혼났는지, 그게 뭐 혼날 일인지도 잘 몰랐지만요. ㅎㅎ
기아트윈스
이야 역시 고수셨어. 맞아요 절이랑 서원이랑 경서 성독할 때 미묘하게 달라요. 저도 겪어보기 전까진 몰라서 큰 웃음 한 번 줬지만요 ;ㅅ;
작은별에 맹잨ㅋㅋㅋㅋㅋㅋㅋㅋ 드랍더비트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들어보고 싶어요 ㅋㅋㅋ
기아트윈스
디씨인사이드처럼 보이스 리플이 되면 좋을 텐데 ㅋㅋ
DoubleYellowDot
강하는 게 묘하게 불경같으면서도 성당에서 연도하는거랑도 비슷하고 그러네요
기아트윈스
https://www.youtube.com/watch?v=j8v0IxVSjvA
덕소성당 연도대회 우승 2013


신기신기. 정말 비슷하네요 ㅎㅎ
DoubleYellowDot
애초에 연도가 기도문만 있는데, 무언가 알수 없는 이유로 우리나라에서는 가락이 붙었대요.
그런데 외국에서 보기에 이런 가락은 되게 신기하고 예뻐보였다고...
그래서 한국 천주교회에서 이걸 돌아다니면서 채보를 해서 하나로 통일을 해서 상장예식을 만들었다고 하더라구요..
요새 상장예식 책을 사면 아예 악보로 그려져 있어요..
생각해보면 왜 이유없이 가락이 붙었을까. 그 가락은 어디에서 왔을까 추측해보면 불교에서 독경을 하거나, 서당에서 글 배울때 하던대로 했거나, 였을거 같아요. 그래서 비슷하게 들리는 것 같아요
기아트윈스
이런 이야기 너무 재밌어요. 하나 또 배워갑니다. 나중에 어디가서 썰풀어야지 :)
저희 할머니가 성경과 찬송가를 읽을 때 저렇게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느낌으로 흥얼흥얼하시던데 ㅋ
기아트윈스
저도 비슷한 코멘트를 들었어요. 한국전쟁 후에 우리나라 카톨릭 성당에 아일랜드출신 신부님들이 꽤 많았대요. 그분들이 다른 때는 유창한 한국말을 하다가도 미사를 볼 때는 꼭 독특한 음박으로 읽는대요. 그래서 그냥 성경을 읽기만해도 리드미컬한게 꼭 시 낭송하는 것처럼 들렸다고해요.
카톨릭에서 연도할 때도 리듬을 타면서 하시더라고요.
에 쓰고 보니 위에 동일한 리플이 있...

궁금한게 하나 있는데 한문은 쓰는 방식이 많이 변하지 않았나요?익혀놓으면 수천년에 걸친 정사25사를 어느정도는 다 읽을 수 있나요? 궁금하네요.
Azurespace
백화문, 즉 구어체 중국어가 공식화된게 이제 고작 백년이 조금 넘었습니다. 물론 백화 자체야 송나라 시대부터 있었지만, 공식적인 기록들은 문어체인 한자한문(고대 중국 문어체)로 되어 있을 거에요.
그거 참 현명하네요... 공식적 기록들은 다 통일시키다니.
기아트윈스
문어로서의 한문이 크게 몇 번 변했어요. 일단 은주시대에 거북이 껍데기나 청동기에 쓰던 문체가 있는데 이걸 갑골문(甲骨文)-금문(金文)이라고 불러요. 현존 경서중엔 시경-서경-주역 정도에 이 문체가 남아있어요. 전국시대부터는 죽간(竹簡)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훨씬 긴 호흡으로 글을 쓸 수 있게 되었어요. 그에 따라 문체가 크게 한 번 변했는데 이 문체의 대표작이 맹자예요. 우리가 흔히 "한문"이라고 칭하는 문어는 쉽게 말해 맹자체(실제 이런 말은 없지만)라고 보시면 되고, 25사도 거의 대부분 이 문체로 되어있어요.

거기에 더... 더 보기
문어로서의 한문이 크게 몇 번 변했어요. 일단 은주시대에 거북이 껍데기나 청동기에 쓰던 문체가 있는데 이걸 갑골문(甲骨文)-금문(金文)이라고 불러요. 현존 경서중엔 시경-서경-주역 정도에 이 문체가 남아있어요. 전국시대부터는 죽간(竹簡)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훨씬 긴 호흡으로 글을 쓸 수 있게 되었어요. 그에 따라 문체가 크게 한 번 변했는데 이 문체의 대표작이 맹자예요. 우리가 흔히 "한문"이라고 칭하는 문어는 쉽게 말해 맹자체(실제 이런 말은 없지만)라고 보시면 되고, 25사도 거의 대부분 이 문체로 되어있어요.

거기에 더해 쟝르별로 글쓰기가 방식이 좀 많이 달라지기도 해요. 우리도 신문지상에 쓰는 글과 디씨에 쓰는 글이 다르고, 같은 신문지상이라도 정치면과 문화면은 문체가 좀 다르잖아요? 그래서 25사를 보더라도, 예컨대, 공명의 출사표는 표(表)라는 쟝르의 규칙에 맞게 쓴거라 왕/황제가 아랫사람에게 내리는 글과 비교해보면 영 다르지요.

또 똑같이 맹자식 글쓰기를 한다고 해도 시대에 따라 조금씩 변하지 않는 건 아니라서 한-당 시대의 글과 송-명 시대의 글은 느낌이 다르고, 청나라 때 글도 느낌이 좀 달라요. 그래서 아무리 한문을 잘해도 자기랑 맞지 않는 시대, 맞지 않는 쟝르의 글을 읽을 땐 다들 헛발질도 하고 고생도 하지요.
글마다의 성격이 다르고 그런건 번역된 거나 보는 입장에선 티가 많이 나지 않겠지만, 한자 하나로도 뜻이 막 바뀌니 하시는 분들은 고생스럽겠군요...
죄송스럽지만 또 두 개 질문이 있는데
첫째로 중국의 사서들에서 대화들을 기록한 걸 봐도 과도할 정도로 인용을 많이하고 그래서 역사적 배경지식이 없으면 아예 못 알아듣게 말을 하던데, 이런식의 대화법은 요즘도 심한가요?
몇화인지 정확히 기억이 안나지만 비정상회담에서 중국사람이랑 알베르토가 얘기하는거 보니까 중국인들이랑 말할떄 중국사를 대충이라도 모르면 회화하기 힘들다는 식으로 말하... 더 보기
글마다의 성격이 다르고 그런건 번역된 거나 보는 입장에선 티가 많이 나지 않겠지만, 한자 하나로도 뜻이 막 바뀌니 하시는 분들은 고생스럽겠군요...
죄송스럽지만 또 두 개 질문이 있는데
첫째로 중국의 사서들에서 대화들을 기록한 걸 봐도 과도할 정도로 인용을 많이하고 그래서 역사적 배경지식이 없으면 아예 못 알아듣게 말을 하던데, 이런식의 대화법은 요즘도 심한가요?
몇화인지 정확히 기억이 안나지만 비정상회담에서 중국사람이랑 알베르토가 얘기하는거 보니까 중국인들이랑 말할떄 중국사를 대충이라도 모르면 회화하기 힘들다는 식으로 말하고 중국인도 맞다고 인정하는 그런 내용이 나오더라구요. 기아트윈스님도 중국에 자주 가신다 들어서 한 번 여쭤봅니다. 물론 기아트윈스님은 대체로 학문하는 사람들 만나러 가시는 거겠지만, 아닌 사람도 만나실테니, 지식인층에 한하지 않아도 대체적으로 그런 경향이 있는지... 궁금하네요

둘째로 출사표 얘기 하시니 기억나는건데 후출사표 위작설 근거가 여러개 있긴 하지만 그 중 하나가 전의 출사표보다 문장력, 글의 풍격이 떨어져서 다른 사람 글 같다는 것도 근거로 있던데, 한문을 잘 아시는 입장에서 읽어보면 아 이거 다른사람 글인 것도 같은데? 라 할정도로 심한가요?
기아트윈스
1. 전통시대처럼 심하진 않지만 한국인의 언어감수성으로 보면 여전히 꽤 그런 편이에요. 우리로치면 인터넷 개드립 칠 때도 사자성어를 이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비슷해요. 물론 숙달된(?) 한국인 입장에선 이게 아주 큰 문제는 아닌데 서양권 학생들이 중국어 배울 땐 이 부분에서 어떤 장벽 같은 걸 느껴요. 예컨대 어떤 예쁜 여배우의 연기를 보면서 중국인이 "서시(西施) 네 서시야 " 라고 하면 한국인이나 일본인은 귀로 들은 음을 한자어로 연결시킬 수만 있다는 전제하에 충분히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어요. 하지만 영국인은.... 눈 앞이 깜... 더 보기
1. 전통시대처럼 심하진 않지만 한국인의 언어감수성으로 보면 여전히 꽤 그런 편이에요. 우리로치면 인터넷 개드립 칠 때도 사자성어를 이용한다고 생각하시면 비슷해요. 물론 숙달된(?) 한국인 입장에선 이게 아주 큰 문제는 아닌데 서양권 학생들이 중국어 배울 땐 이 부분에서 어떤 장벽 같은 걸 느껴요. 예컨대 어떤 예쁜 여배우의 연기를 보면서 중국인이 "서시(西施) 네 서시야 " 라고 하면 한국인이나 일본인은 귀로 들은 음을 한자어로 연결시킬 수만 있다는 전제하에 충분히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어요. 하지만 영국인은.... 눈 앞이 깜깜해지겠죠 -_-; 심지어 교육수준이 높지 않은 중국인도 서시는 다 알테니 비동양권 외국인에겐 충분히 갑갑할 수 있어요.

그런데 중국인 유학생들이 영국 유학와서 겪는 어려움도 그닥 다르지 않아요. 예를 들어 엇그제 맨유 vs 맨시티 경기 결과 확인하려고 뉴스 기사를 하나 눌렀는데 "맨체스터 시티가 결국 이 스릴있는 경기를 자기들 이빨가죽으로 이깁니다(Manchester City eventually edge a thrilling game by the skin of their teeth)" 라는 거예요. 제가 영어를 아주 못하는 건 아닌데 이게 도대체 무슨소린지 감도 안잡히더라구요. 알고보니 "누구누구의 이빨가죽으로"라는 표현이 성경의 욥기에 나오는 말이래요. 간당간당하게 뭔가를 해내면 이런 표현을 쓴대요. 아니 내가 그걸 어떻게 알아 -_-;;;

2. 방금 출사표랑 후출사표를 다시 읽어봤는데 확실히 후출사표쪽이 좀 딸리네요;; 왜 전출사표가 더 유명한지 알겠어요. 그런데 글빨이 딸린다고 꼭 위작이라곤 할 수 없어요. 한유나 소식이나 다 중국 역사상 2~3 손가락 안에 꼽힐 만큼 명문장가지만 그들의 문집을 읽어보면 어떤 건 헉 소리 나오게 좋은 반면 어떤 건 믿을 수 없을 만큼 진부해요. 후출사표가 위작이라는 걸 뒷받침할 만한 기타 다른 논거들이 충분히 강하다면 후출사표의 부족한(?) 문장력 역시 시너지를 일으켜 위작설에 힘을 보탤 수 있을 거예요. 하지만 문장력'만' 가지고는 그렇게 주장하기 어렵다고 봐요.
Beer Inside
edge가 아니라 wedge가 아닌지요...... 여하튼 좋은 표현 배워갑니다.
기아트윈스
앗, 제가 해석을 잘못했어요. 원문은 edge가 맞는데 "쐐기"라는 제 번역이 틀렸던 거예요. edge 자체에 근소한 차이로 승리하다라는 뜻이 있대요. 여하튼 꼼꼼히 봐주셔서 고마워요 ㅎㅎ
Beer Inside
그렇군요

사전에 edge가 동사형이 없어서 그런가 했는데 사전을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이빨가죽 오옹... 그런 표현도 있군요..

위작설 가장 강력한 논거는 조운은 그때 살아있는데 죽었다고 쓴 건데, 결정적인 증거는 없다고 하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020 기타미르+K = 미륵? 11 모모스 16/10/27 5274 2
4009 기타[스포] 작가도 수습하기 힘들 때 6 피아니시모 16/10/25 6860 0
3976 기타내부자들 디오리지널...(스포) 1 2막4장 16/10/21 7817 2
3967 기타10.29일 (토) 여러분을 만나봽고 싶습니다. 14 레이드 16/10/20 5725 3
3958 기타 4 피아니시모 16/10/19 3515 0
3931 기타[토막상식] 공칭치수(Nominal dimension)에 대하여 11 April_fool 16/10/16 23786 4
3927 기타이태원 지구촌축제 하더라고요 2 아재형 16/10/16 3633 0
3912 기타질레트 프로쉴드 행사.jpg 4 김치찌개 16/10/15 5318 0
3887 기타모태솔로 11 알료사 16/10/12 5361 6
3881 기타가지뿔영양 (Antilocapra americana, Pronghorn) 과 수렴진화 4 모모스 16/10/12 9857 4
3865 기타쓰기 시작했습니다. 16 givemecake 16/10/10 4768 2
3862 기타오랜 만남의 끝이 다가옵니다 11 마투잘렘 16/10/10 3344 0
3796 기타미군과 대한민국 공군의 대레이더 미사일 (Anti-Radiation Missile) 4 모모스 16/09/29 7367 0
3766 기타미군의 제공권 장악 시나리오 4 모모스 16/09/24 3862 0
3745 기타팡팡 우럭따. 66 관대한 개장수 16/09/21 7007 0
3740 기타미군의 전략폭격기 (B-1, B-2, B-52) 10 모모스 16/09/21 6814 1
3725 기타women in computing... 39 새의선물 16/09/19 5022 0
3706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끗): 에필로그 23 기아트윈스 16/09/14 5197 12
3705 기타어떤 밈 19 눈부심 16/09/14 9247 2
3702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4): 버츄얼 파이터 사건 14 기아트윈스 16/09/14 4313 4
3697 기타핸디캡 이론 (흡연과 음주의 이유) 9 모모스 16/09/13 6072 6
3694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3): 구밀복검(口蜜腹劍) 30 기아트윈스 16/09/13 4530 5
3689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2): 디제이디제이 드랍 더 비트 30 기아트윈스 16/09/12 5941 11
3683 기타서원(書院)에서 한문 배운 썰 19 기아트윈스 16/09/11 5118 8
3668 기타mbc 다큐멘터리 제작팀에서 다양한 사례자를 찾습니다. 25 개인정보취급방침 16/09/08 4923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