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5/05/05 00:06:00
Name   meson
Subject   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이재명은 성남시장으로 명성을 얻고, 경기도지사직을 수행하며 유력 대권주자로 자리매김한 인물입니다. 2021년부터 2022년까지는 대선후보였으며, 낙선한 해에 계양을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 현재까지 약 3년간 의정 활동을 했습니다. 이 기간 동안 피습을 당했다가 기사회생했고, 총선을 승리했으며, 당대표를 연임하였습니다.

이재명은 이러한 정치적 자산에도 불구하고 약점이 많이 발견된 인물입니다. 전과 4범(지하철역 명함살포·성남시의회 기물파손·음주운전·검사사칭 협조)일 뿐만 아니라 8개의 사건(대장동·백현동·위례동·성남FC·대북송금·위증교사·허위사실공표·법인카드유용)으로 5개의 재판을 받고 있습니다. 그의 기본 시리즈는 포풀리즘 우려를 낳았고, 경제관은 시장원리에 위배된다는 논란이 있으며, 안보관은 친중적이라고 일컬어집니다.

이재명이 이러한 부정적인 면모에도 불구하고 굳건한 당 장악력을 앞세워 다시 대선에 출마하는 흐름에 대하여, 일찍이 다양한 의견이 있었습니다. 일부에서는 검찰·언론·암살자가 모두 죽이려고 드는 이재명이야말로 [ 사회 기득권이 가장 무서워하는 인물 ]이므로, 지지할 만하다고 보았습니다. 반면 일부에서는 이재명처럼 [ 논란이 많고 비호감도가 높은 인물 ]을 내세우기 때문에 중도층의 지지가 제한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오늘날 돌아본다면 윤석열 정부가 제 임기를 채우기만 했더라도, 전자의 의견은 갈수록 소수화되고 후자의 의견이 법원 판결의 지지를 받아, 이재명의 정치생명은 끊어졌을 것입니다. 그의 피선거권은 박탈당하고, 정치적 영향력은 감소하며, 그 뒤에는 실형을 살게 되었을 것입니다. 아무리 선택적 수사와 기소를 성토하더라도, 누가 정말로 법원 판결에 불복하자고 주장할 수 있었겠습니까. 설령 주장하더라도, 시민들이 따를 수가 있었겠습니까.

따라서 12월 3일에 계엄이 선포되지 않았더라면 대한민국은 정상국가로 남고, 이재명은 사라졌을 것입니다.

그런데 윤석열 정부는 어째서인지 대한민국을 비정상국가로 만들었습니다. [ 그래서 이재명도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

여기에 이 국면의 역설이 있습니다. 이재명을 지지하던 측과 죽이려던 측의 대립은 어떤 의미에서는 서로가 더 본질적인 거악(巨惡)이라고 주장하는 두 세계관의 충돌이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만일 국가를 지배하는 기득권 세력이 있고 이재명이 이들의 권력을 위협한 것이라면, 수사와 재판은 [ 탄압의 증거 ]가 됩니다. 반면 국가를 지배하는 암중세력은 없고 권력자를 단죄하려는 사법 시스템만 있는 것이라면, 탄압의 서사는 [ 범죄자의 변명 ]이 됩니다.

2024년 11월까지 ‘탄압의 세계관’은 큰 설득력이 없었고, 이재명의 정치생명은 법원에 달려 있었습니다. 그의 정치적 입지는 판결이 확정되지 않았다는 사실에서 근거했고 대선은 시간과의 싸움이라는 평이 나왔습니다. 일단 피선거권이 박탈되고 나면, 이재명이 정상이기 위해서는 국가를 비정상으로 치부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탄압의 세계관’을 받아들이지 않는 이상 국가의 정상성을 부정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했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2024년 12월에 이르러, 국가의 정상성은 오히려 윤석열 정부의 계엄으로 무너지고 말았습니다. 반면에 이재명은 계엄 해제를 주도하며 정상성의 붕괴를 최소화하고자 진력했습니다. 이 때문에 윤석열 정부는 더는 국가 체계의 정상성과 이재명의 비정상성을 설파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도리어 그들이 가장 시급한 단죄 대상이 되고, 그 일을 할 수 있고 잘할 것 같은 인물로 이재명이 주목받았습니다. [ 공수가 전환된 것입니다. ]

물론 12·3 계엄에도 불구하고, 여당과 국가 기관들이 윤석열 정부와의 차이를 강조하며 사후 처리에 협력했다면 이재명의 대두는 제한적이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여당 의원들은 대통령을 중심으로 결집했고, 국가인권위원회는 대통령의 인권을 수호했으며, 헌법 재판조차도 권한대행이 한 차례 탄핵된 뒤에야 개시될 수 있었습니다. 대통령은 경호처를 동원해 영장에 불복했고, 검찰과 법원은 구속취소 논란으로 의심의 시선을 받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윤석열 정부는 국가의 정상성을 그렇게 한순간에 무너뜨리고도, 그 뒤 4개월 동안 당당함을 뽐내며 [ 체제의 신뢰도를 한없이 추락시켰다 ]고 말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여기에서 기인한 충격이 앞서 언급한 ‘탄압의 세계관’을 널리 납득시켰습니다. 단지 대통령만 문제였던 것이 아니라, 체제 운용자들 전반이 한통속이었다는 인식이 너무 많이 확산되었던 탓입니다. 결국 이재명의 대두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불신에서 초래된 것입니다.

사정이 이러하므로 오늘날 이재명의 시간을 막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일이 되었습니다. 윤석열 정부가 체제에 대한 신뢰를 붕괴시킨 현재의 상황에서는 대법원의 판결조차 비정상의 일환으로 해석되지, 정상적인 작동으로 받아들여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판결에 대항하는 조치는 유의미한 역풍을 발생시키지 못하며, 여권 후보가 모두 계엄 당시에 국무위원이었다는 사실은 이를 보장해 줍니다. 변수가 극도로 제한되어 버린 셈입니다.

그렇기에 이재명은 마치 운석처럼 다가올 것입니다. 운석은 도래하기 한참 전부터 이미 보이기 시작합니다. 그러나 운석이 육안으로 보인다면, 이미 운석을 피하기는 늦은 시점이겠지요. 따라서 운석을 보고 멸망을 예감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운석을 막는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 운석은 기어이 공룡을 멸종시킬 것입니다.

image

그리고 22대 총선 당시와 마찬가지로, 이 운석은 윤석열 정부가 [ 스스로 불러온 재앙 ]으로 기록될 것입니다.



13
  • 제 생각과 거의 같네요


너무 묵직하면서도 깔끔한 글이라 홍차넷에서도 보고 싶었습니다. 감사합니다ㅎㅎ
4
과학상자
국가의 비정상성을 일깨우기 위해 계몽령을 발동하여 운석으로 산화하신 윤석열니뮤ㅠ
5
방사능홍차
윤석열이 정말 이재명 좋으라고 게엄한거라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남 좋은 일만 했어요 ㅋㅋ
3
공감합니다.
이런 저런 구린짓을 대놓고 해도 5년을 기다려야 한다는게 참 깝깝했는데
스스로 계엄을 해주는 바람에 빠르게 해결된 것에 대해 만족하고 있습니다. 과정은 참 지난했고 지금도 지난하지만...
윤석열이 계엄하지 않았던 세계선의 정권 말로도 궁금하긴 하네요.

그런 사람을 대선 후보로 추대하고, 윤석열 맘에 안드는 당대표 짜르고 자기 사람 갖다 앉히고, 그 사람도 또 맘에 안든다고 내보내고... 그 과정에 수족으로서만 기능했던 국힘의 모습을 보면 진짜 저게 당인가 싶습니다. 자격 미달인 정치인들은 정리하고 새판 짰으면 좋겠습니다.
2
마술사
내용에 크게 공감하고 추천드리고 갑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465 정치MB아바타를 뛰어넘을 발언이 앞으로 또 나올까 했는데 8 kien 25/05/27 1625 0
15460 정치이재명에게 중재자로의 변화를 바라며 3 다마고 25/05/24 1374 3
15457 정치단일화 사견 13 경계인 25/05/23 1475 0
15455 정치누가 한은에서 호텔경제학 관련해서 올린 걸 찾았군요. 3 kien 25/05/22 1537 1
15451 정치호텔경제학은 달라졌으나, 언론은 달라지지 않았다 9 meson 25/05/21 1403 2
15450 정치이번 대선도 언행이 맘에 드는 후보는 없었다 17 The xian 25/05/21 2160 2
15447 정치민주당이 사법부에 대한 압박은 이제는 중지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32 kien 25/05/17 2860 5
15446 정치호텔경제학 감상문 22 meson 25/05/17 2701 5
15445 정치선거철 단상2 (어디로 가야하오.) moqq 25/05/16 1105 4
15440 정치현재 가장 노무현스럽게 정치하는 사람은 김상욱 의원 같습니다. 10 kien 25/05/15 1760 5
15437 정치민중당, 정의당, 민주노동당. 12 마키아토 25/05/12 2187 21
15436 정치이준석의 일갈 29 당근매니아 25/05/12 2502 0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2474 0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1322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1165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1255 2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926 19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1316 11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1098 3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895 15
15369 정치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3 명동의밤 25/04/08 1083 0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1486 13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1019 7
15361 정치"또 영업 시작하네" 10 명동의밤 25/04/05 1975 10
15357 정치2024헌나8 대통령 윤석열 탄핵사건 선고요지 전문 15 즐거운인생 25/04/04 3688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