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1/16 18:54:56
Name   김비버
Subject   거칠고 인용 없이 쓰는 수능 단상
1.
지금은 그마저 시들해졌지만, 예전에 학벌주의가 한창 사회적 담론이었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당시 고등학생이었던 저는 그렇게 생각했습니다. '학벌주의를 비판하기 위해서라도 학벌을 취득해야 한다'.

2.
원래 서울대 로스쿨은 '어리고-성적 좋고-무색무취'한 학생을 좋아했는데, 이를 비판하면서 '공익'이라는 테마로 보다 다양한 학생을 선발하고자 노력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그 분위기를 주도했던 당시 원장님께서 입학식 날 하셨던 말씀이 인상적이었습니다. '젊은 날 남들과 다른 길을 선택했던 사람들이 지금은 거대한 존재가 되어 있다. 비록 난 전형적인 엘리트의 길을 걸었지만 여러분은 마음껏 도전해봤으면 좋겠다'(아마 엘리트인 자신은 아무리 뭘 해도 one of them인 반면에 자신의 길을 개척한 사람들은 그 자체로 세력이고 태풍의 핵이라는 인식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사실 서울대 법대 사람들의 오랜 인식이자 갈증이기도 하지요).

3.
변호사시험 제도는 총체적으로 불합리합니다. 작년에 전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내가 이 시험을 반드시 붙어야 하는 이유를 두개만 꼽으라면, 그 두번째는 이 제도를 비판하기 위해서이다'.

---

무언가 기시감이 느껴지지 않습니까? 주류가 되어야만 체제를 비판할 자격이 생긴다는 것. 이 메시지는 청운의 '꿈'을 품은 명민한 젊은이들에게 강렬하게 다가오지만, 시스템적으로 보면 이야말로 엘리트주의를 유지하는 가장 강력한 사회적 기제가 아닐까 합니다.

'능력주의'에 대해서는 정치적, 윤리적, 철학적으로 찬반 담론이 있을 수 있고 실제로도 첨예한 쟁점입니다만, '엘리트주의'에 대해서는 찬반이 있을 수 없습니다. 엘리트주의는 해당 엘리트 집단이 인정한 능력만을 참된 '능력'으로 인정하는데, 대체로 엘리트 집단이 선호하는 능력이라는 것은 치밀하고 깔끔한 형식, 세련된 의전 그리고 완벽한 모방을 의미하는 반면(가끔 엘리트 집단에서 쿨타임 한번 찰때마다 버튼 눌린듯이 '창의성' 운운할 때가 있는데, 이는 케이크의 체리장식처럼 완벽한 모방을 기초로 하되 말미에 자신의 위트를 살짝 가미해보라는 의미입니다), 사회가 진정으로 원하는 능력은 '사람을 행복하게 하는 재화를 더 많이, 더 효율적으로, 그리고 더 오염 없이 생산하는 능력'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엘리트집단이 추구하는 가치와 사회가 진정으로 필요로 하는 가치의 초점이 다르기 때문에, 엘리트주의가 장악한 사회는 전형적으로 어느 한 구석에서 엘리트들은 무지하게 고생하면서 인생 갈아넣고 있는데, 정작 사회는 나아지지 않는...그런 현상이 발생합니다. 다시 말해 헛고생한다는 것입니다. 마치 전근대사회의 사대부, 귀족들처럼요. 그리고 역사가 보여주지요, '귀족주의'는 언제나 위기상황에서 무력했다는 것을.

다시, 체제를 비판하기 위해서는 주류가 되어라, 이 말이 강렬한 이유는 엘리트주의 즉 귀족주의는 항상 '전'과 '후'를 나누어서, 어떤 시험 내지는 기타 자격증명을 통과하여 '후'에 진입하면 그로써 모든 것이 바뀌고 그제서야 '진정한 엘리트'가 될 수 있는 것과 같은 환상을 속삭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체제는 그렇게 만만하지가 않습니다. 더욱 순수한 엘리트, '더 진정한 엘리트'가 되기 위한 자격증명은 끝이 없고 설령 이 모든 과정을 거친다고 하더라도 그 때에는 이미 자기 자신이 체제의 일부가 되어 있을 것입니다.

거칠게 요약해서 자본주의가 성공했던 이유는, 시장논리와 시장의 평가 시스템이라는 무기로 엘리트 귀족들의 번지르르한 자체 평가 시스템을 무력화했기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그러나 현대에도(그리고 제 생각에는 한국은 더더욱) 엘리트들은 민주주의와 정부 예산, 그리고 정치적 명분에 기대어 어느 한구석에서 자기들만의 성을 쌓고 인정놀이를 하곤 합니다. 마치 서울대 로스쿨의 '공익' 담론처럼요.

지금의 수능은 어떻습니까? 때로 어떤 학생은 대학 어디 가는 것보다 확실한 기술을 배우든 서비스업에 투신하든 하여 돈벌이를 하는 것이 자기 자신한테도 좋고 사회에도 이롭다는 것을 본인도 내심 알고, 선생님도 알고, 학부모도 알지만, 막상 진로상담 시에는 아무도 그 얘기를 꺼내지 못하더군요. 이 사회의 분위기를 지배하는 '타인의 욕망'이 특정 종류 인간들에게 (그들이 산출하는 가치와 관계 없이) 문화적 중심성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이 아닙니까? 그리고 수능이라는 기제는 이를 강화, 정당화 하구요. 이 점에서 비판은 수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시, 입학사정관제 등 입시 전반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즉 수능이라는 시험이 문제가 아니라 수능 등 대학입시에 부여되는 사회적, 문화적 의미가 문제라는 것이고, 그 사회적, 문화적 의미는 엘리트주의적 맥락에서 발생, 강화된다는 것입니다. 수능에 대한 비판으로 입학사정관제가 도입되었지만, 이는 평가의 주체를 평가원에서 (그야말로 엘리트주의에 쩌들어 있는) 교수들에게 이양한 것이기 때문에,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함은 어찌보면 당연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수능 날 수능을 비판하며 생각해야 하는 대안은 수능이라는 '시험'의 해체가 아니라 그 시험을 둘러싸고 있는 사회적 의미의 해체, 즉 문화적 중심성의 정당한 배분이라고 생각합니다.







9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05 일상/생각이글루스의 폐쇄에 대한 잡다한 말들. 9 joel 23/12/03 2240 16
    14304 일상/생각최종 후기 7 당근매니아 23/12/02 2242 12
    14297 일상/생각한국인을 위한 변명. 12 moqq 23/11/29 2555 2
    14286 일상/생각합리적인 추론인가, 바람인가? right 23/11/20 1847 3
    14279 일상/생각인생의 유관력 8 moqq 23/11/16 3644 2
    14278 일상/생각거칠고 인용 없이 쓰는 수능 단상 7 김비버 23/11/16 2217 9
    14277 일상/생각사람은 첫인상으로 기억한다. 1 큐리스 23/11/15 1765 2
    14274 일상/생각가정파탄... 숨이 막히네요 22 우리학년 23/11/14 3017 0
    14272 일상/생각아이가 집에오는 시간 10시 20분^^; 1 큐리스 23/11/14 2076 14
    14270 일상/생각사소한 관습 깬다는것? 24 셀레네 23/11/13 2200 2
    14261 일상/생각s23u 구입기 7 Beemo 23/11/07 1722 1
    14260 일상/생각쿠팡 대비 코스트코 이득금액 정리 엑셀본 공유합니다 8 보리건빵 23/11/06 2134 5
    14257 일상/생각소설을 쓰면서 처음으로 팬아트를 받아봤습니다. 4 givemecake 23/11/06 1885 7
    14255 일상/생각빈대에 물린 이야기 2 그저그런 23/11/05 1847 0
    14253 일상/생각처음으로 차 사고가 났습니다 2 뇌세척 23/11/05 1640 1
    14251 일상/생각데이터가 넘치는 세계(로 부터의 잠시 도피?) 1 냥냥이 23/11/04 1618 3
    14247 일상/생각음식도 결국 문화다. 12 OneV 23/11/03 2057 0
    14240 일상/생각저의 악취미 이야기 8 김비버 23/11/01 2307 12
    14236 일상/생각적당한 계모님 이야기. 10 tannenbaum 23/10/30 2376 41
    14222 일상/생각의료와 관련된 행위는 항상 의심을 가지고 지켜봐야 합니다. 10 큐리스 23/10/25 2102 1
    14212 일상/생각아시안 게임도 보기 싫을 정도로 애국심이 없어요 21 뛰런 23/10/21 2259 0
    14203 일상/생각운동에 흥미를 가지지 못하고 살아가는 느낌.. 11 큐리스 23/10/16 2173 0
    14196 일상/생각'남자'로 살아간다는 것에 대해 각자의 생각과 경험을 이야기해볼까요? 13 소요 23/10/14 3005 11
    14183 일상/생각남 탓 1 거소 23/10/11 1673 9
    14176 일상/생각고구마 총론 8 바이엘 23/10/08 2314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